이두걸 사회2부 차장
영국의 문호 찰스 디킨스의 소설 ‘두 도시 이야기’ 5장 ‘술집’ 중 한 대목이다. 해당 문장의 배경은 프랑스 파리다. 19세기 언저리 파리는 전형적인 중세 도시였다. 난개발로 인해 대로는 많지 않았다. 대신 좁고 미로 같은 골목들이 우후죽순 격으로 만들어졌다. 골목 양편으로는 집이 다닥다닥 붙어 있어 대낮에도 빛이 들어오지 않았다. 상하수도가 정비되지 않은 탓에 비라도 내리는 날엔 거리가 생활하수와 오수로 넘쳐나는 ‘거대한 화장실’로 변모했다. 1666년 대화재를 겪은 이후 4차선 도로를 갖춘 근대 도시로 거듭난 런던에 비할 바 아니었다.
파리가 근대 도시로 변모한 것은 1852년 파리 등 센 지역 도지사로 조르주외젠 오스만 남작이 임명된 게 계기가 됐다. 나폴레옹 3세는 런던 망명 시절 파리를 개조하겠다는 계획을 세웠고, 황제 자리에 오르자 오스만 남작을 내세워 이를 실행한다.
오스만 남작은 도시를 하나의 유기체로 보고 1870년까지 도시 전체를 체계적으로 건설했다. 그는 기차역과 주요 광장을 연결하는 직선의 대로들을 만들었다. 파리의 동서를 가로지르는 리볼리거리와 남북으로 뻗은 생미셸거리는 그의 작품이다. 대로 주변으로는 ‘오스만 양식 건물’로 불리는 고층 빌딩들을 세웠다. 상하수도망이 확충되는 동시에 크고 작은 녹지들이 곳곳에 마련된 것도 이때였다. 거리마다 가스등도 확충됐다. 엄청난 재정 부담에도 오스만 남작과 나폴레옹 3세는 사업을 뚝심 있게 밀어붙였다. 그 결과 파리는 가장 현대화되면서도 아름다운 ‘빛의 도시’로 거듭났다.
다만 파리 개조 사업의 ‘그림자’도 존재했다. 주거지 사이로 대로를 뚫어야 했기에 수만여 채의 가옥이 헐렸다. 공사 뒤에는 임대료가 크게 치솟았다. 도심에 살던 하층민들은 구도심 못지않게 열악했던 시 외곽으로 밀려나야 했다. 미로를 없애고 대로를 건설한 것은 감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조치이기도 했다. 이에 “발터 베냐민에서 미셸 푸코에 이르는 비판적 지식인들은 오스만의 도시 계획이 프랑스혁명 이후 폭동과 소요의 중심이 된 파리를 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뤄졌다고 평가했다.”(정수복, ‘파리를 생각한다’ 중)
서울시도 도심 재개발을 준비 중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4월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발표했다. 높이 제한과 용적률 등 규제를 과감히 풀고, 공공 기여로 서울 도심의 녹지율을 15% 이상 끌어올린다는 게 뼈대다. “세운지구를 보면 피를 토하고 싶은 심정”이라는 오 시장의 말은 과하지 않다. 지난 10여년간 개발이 중단된 세운지구는 근 반 세기 전으로 시계가 멈춰 있는 모습이다. 전통 한옥지구처럼 보존 가치가 큰 것도 아니다.
다만 그곳에서도 누군가는 장사를 하고 공장을 돌려 먹고산다. 하루의 노동을 끝내고 고단한 몸을 누일 공간이기도 하다. 물론 사업이 실제 진행되려면 10년 이상 걸릴 공산이 크다. 하지만 첫 단추를 잘못 꿰면 건물주와의 갈등으로 최근 강제 철거된 ‘을지OB베어들’이 양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오 시장이 선거 과정에서 내건 ‘약자와의 동행’에서 ‘동행’은 같이 걷는 이의 사정과 마음을 살피는 ‘화학적’ 보폭을 맞추는 것까지 포함한다. 오 시장이 본받아야 하는 건 오스만의 뚝심이고, 단절해야 하는 건 오스만의 무감함인 까닭이다.
2022-06-17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