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수경 산업부 기자
앞서 1년여 전인 지난해 4월 ‘어린이라는 새로운 사람’이라는 제목의 칼럼으로 이 문제를 지적했던 기자로서는 인권위가 이런 의견 표명을 하게 돼 늦었지만 다행이란 생각이 들었다. 당시 칼럼을 통해 기자는 다양한 영역의 초보자에게 ‘~린이’를 붙인 말들이 양산되고 있음에 경각심을 느끼며 이 단어가 어린이에게 무례한 표현이라고 지적했다. 어린이가 미숙하고 모자란 존재라는 전제가 깔린 말이기 때문이다. 또 일상에서 가볍게 던지는 비하 발언이 차별을 가볍게 여기게 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사람들이 편견을 드러내는 행동을 쉽게 하도록 만든다는 우려를 담았다.
인권위 역시 “‘~린이’라는 단어는 아동이 권리의 주체이자 특별한 보호와 존중을 받아야 하는 독립적 인격체가 아니라 미숙하고 불완전한 존재라는 인식에 기반한다”며 “아동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조장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이런 표현이 방송, 인터넷 등에 무분별하게 쓰이면 아동들이 자신을 무시하고 비하하는 유해한 환경 속에서 성장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인권위 입장을 전한 언론 보도에 달린 일부 댓글을 보고 참담한 기분이 들었다. 댓글은 ‘초보를 귀엽게, 정감 있게 표현한 말인데 이게 무슨 차별적 표현이냐’, ‘사실 어린이는 모자라고 부족한 존재가 맞지 않으냐’, ‘별일 아닌 일에 인권위까지 나선다’는 식이었다. 심지어 일부 언론은 “인권위가 ‘인권’이란 말의 쓰임새를 잘 모르는 ‘권린이’ 같다”며 조롱 조의 코멘트를 달아 아쉬움을 남겼다.
정작 당사자인 어린이들은 어른들의 이런 표현에 불편함을 드러냈다.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이 어린이 5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어린이들은 ‘~린이’ 표현을 쓰는 어른들을 향해 ‘어린이를 존중해 주세요’(25.6%), ‘어린이도 똑같은 사람입니다’(23.8%), ‘어른들도 한때는 어린이였습니다’(23%·이상 중복응답)라며 일침을 가했다.
약자, 소수자의 입장이 돼 보지 못한 사람은 그런 입장에 처해 있는 사람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감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어른이 한때 어린이였다는 점은 아이러니다. 어른이 어린이에게 하는 실수는 흔히 내가 그 시기를 지나왔기 때문에 어린이를 잘 안다고 여기는 것에서 기인한다. 또 자신이 자라온 환경이 지금도 유효하다고 믿는 데 원인이 있다. 과거 어린이를 어른의 절대적 보호가 필요한 존재, 소유의 대상으로 봤다면 최근에 어린이는 주체적이고 자율적인 존재로 인식된다.
“어린이를 내려다보지 마시고, 쳐다보아 주시오.” 소파 방정환 선생은 1922년 5월 1일 어린이날을 선포하고 이듬해 첫 번째 어린이날 기념행사를 진행하며 어른들에게 이런 당부를 남겼다. 방정환 선생은 젊은이, 늙은이라는 용어와 대등하게 어린이라는 용어를 써서 어린아이의 지위를 격상시키고자 했다.
올해로 어린이날 제정 100주년을 맞았다. ‘어린이’라는 단어를 유희적으로 소비하기 전에 단어에 담긴 무게를 되새겨 보는 것은 어떨까.
2022-05-13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