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중 사회정책부 차장
어머니도 꽃을 참 좋아하셨지요. 가을도 좋지만 봄이 더 좋다 말씀하셨습니다. 10년 전 어느 날 갑자기 쓰러지신 뒤로 봄은 어머니에게 더욱 그립고 가혹한 계절이었습니다. 몸 절반이 움직이지 않았고, 휠체어를 타야 겨우 움직일 수 있었으니까요.
가끔 어머니를 모시고 나들이 가곤 했는데, 매번 고생했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식당을 들어가려 해도 계단을 마주하면 난감해졌습니다. 화장실 문턱 하나 넘기가 왜 그리 힘들던지. 장애인용 봉을 설치한 전용 화장실을 갖춘 식당은 거의 보지 못했습니다. 도심에서 재미난 행사가 열리면 지하철을 이용하기도 했는데, 역시 고된 일이었습니다. 어머니의 휠체어를 밀고 지하철 어딘가에 있는 엘리베이터를 찾으러 주변을 돌곤 했었죠.
그럴 때면 영화 ‘그린북’(2018)이 떠올랐습니다. 인종차별 심했던 1960년대 미국을 배경으로 흑인과 백인의 우정을 그린 영화입니다. 제목인 ‘그린북’은 흑인들이 안전하게 머무를 수 있는 숙소나 식당 등의 정보를 담은 안내 책자입니다. 장애인 진입로가 있고 전용 화장실이 있는 곳, 장애인들이 휠체어를 타고 편하게 즐길 수 있는 곳을 모아 놓은 비슷한 책이 있었으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했습니다.
어머니, 지난달 말 장애인들과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의 갈등이 불거졌습니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의 출근길 지하철 시위 때문이었습니다. 전장연은 장애인권리보장법, 장애인탈시설지원법, 장애인평생교육법,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법을 묶은 ‘4대 장애인 관련법’ 제개정을 촉구했습니다. 이를 두고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비난 글을 올리기 시작했습니다. 지하철을 이용하는 비장애인 서민들이 시위 때문에 고통을 받는다며 전장연을 ‘비문명적’이라 공격했습니다.
장애인도 이동의 권리가 있는 서민입니다. 서민을 장애로 갈라치기하고, 장애인들이 어떤 차별을 받는지 제대로 헤아리지 못한 채 비난만 퍼부은 그 행태가 더 비문명적인 게 아닌가요.
시각장애인인 같은 당 김예지 의원이 결국 3월 28일 시위 현장을 찾아가 무릎을 꿇었습니다. 그 모습을 보니 2017년 9월 당시 일이 떠올랐습니다. 서울 강서구 공진초교 부지에 특수학교를 세우는 일을 토론하는 자리였습니다. 장애아를 둔 부모들이 주민들 앞에서 무릎 꿇고 학교를 짓도록 해 달라며 울었습니다.
어머니, 왜 우리 사회는 약자에게 무릎 꿇지 않고 여전히 약자가 무릎을 꿇어야 할까요. 왜 우리 사회는 다른 이들의 어려움을 알려고 하지 않고 먼저 비난하고 외면하는 것일까요.
어머니, 올해도 어김없이 찬란한 봄이 찾아왔습니다. 올봄 함께 꽃 구경 가기로 했던 약속을 더는 지킬 수가 없습니다. 어머니가 지난달 하늘로 떠나신 뒤 온 가족이 짐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타셨던 낡은 휠체어는 방 한켠에 고이 접혀 있습니다. 갈 곳 잃은 휠체어처럼 장애인 정책도 갈 곳을 잃은 듯합니다.
2022-04-1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