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 장애 16배 폭증… 268억 피해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한 트레이더가 모니터를 보며 일하고 있다. 이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과 나스닥 지수는 각각 2.14%, 2.55% 급락하며 지난 6월 16일 이후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다. 2022.8.22 AFP 연합뉴스
양정숙 무소속 의원실은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자료를 받은 결과 국내 35개 증권사의 증권 거래 수수료는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17조 8998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8일 밝혔다. 거래 수수료는 증시가 호황을 보인 지난해에만 5조 2542억원에 달했는데, 2017년(2조 5833억원)과 비교하면 2배 넘게 늘어났다.
반면 같은 기간 HTS·MTS 장애 건수는 2017년 50건에서 지난해 840건으로 16.8배 급증했다. 서비스 장애가 발생해 이용자들이 입은 피해 금액은 5년간 총 268억원 규모다.
증권사 한 곳당 연간 평균 거래 수수료는 2017년 738억원에서 2018년 863억원으로 늘었고, 2020년 1397억원으로 처음 1000억원을 돌파한 뒤 지난해에는 1501억원을 넘어섰다. 거래 수수료가 가장 많은 증권사는 미래에셋증권으로 5년간 2조 2160억원에 달했고 삼성증권(2조 393억원), NH투자증권(2조 364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양 의원은 “증권사들이 매년 수조원의 천문학적인 수수료 수입을 거두면서 이용자를 위한 서비스 개선과 첨단장비 투자에는 인색하다”고 밝혔다.
2022-09-29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