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예탁금 44조… 작년 말보다 63%↑
증시, 기업실적과 따로 놀아 ‘거품’ 지적한국은행이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기 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낮추고, 유동성 공급을 확대하면서 시중 부동자금이 사상 처음으로 1100조원을 넘어섰다.
갈 곳을 찾지 못한 뭉칫돈이 증시를 비롯해 자산시장으로 흘러들어 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최근 증시에 거품이 끼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31일 한국은행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현금통화,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머니마켓펀드(MMF), 종합자산관리계좌(CMA) 등 부동자금의 규모는 지난 3월 말 기준 1106조 3380억원으로 사상 최대였다. 부동자금은 지난해 11월(110조 7030억원) 1000조원을 넘어선 뒤 3월까지 5개월 연속 증가세다. 이는 기준금리 인하와 채권을 제외한 금융상품의 수익률 하락으로 시중에 떠도는 돈이 늘었기 때문이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부동자금이 자산시장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부동산 시장 규제가 강한 만큼 주식시장으로 자금이 흘러갈 가능성이 더 크다”고 말했다.
실제로 최근 코스피가 2000선을 회복하면서 증시로 자금이 더 쏠리고 있다. 투자자들이 주식 투자를 위해 증권사에 맡긴 투자자예탁금은 지난 28일 기준 44조 5794억원으로,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지난해 말 27조 3384억원보다 63.1%나 늘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최근 증시 회복이 기업실적과 따로 놀고 있는 점을 근거로 거품이 끼었을 가능성이 적지 않다고 본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7일 코스피의 주가수익비율(PER)은 19.6배로, 20배를 웃돌았던 2010년 4월 이후 10년 만에 가장 높았다. 주가수익비율은 주식가격을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으로, 주가가 고평가 혹은 저평가됐는지를 가늠할 때 많이 쓰는 지표다.
주가수익비율이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은 코로나19로 기업 실적이 하락했지만 주가는 조정을 덜 받으면서 수익 대비 기업 가치가 높게 설정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세종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20-06-01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