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는 이직 잦고 고연봉 전문계약직 많은데…

증권가는 이직 잦고 고연봉 전문계약직 많은데…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17-05-30 22:28
수정 2017-05-31 00: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규직 전환·일자리 늘리기’ 두 토끼 잡기… 문재인 정부의 딜레마

삼성증권은 올 3월 말 기준 2197명의 직원 중 비정규직(기간제 근로자)이 14명(0.6%)에 불과하다. 미국 뉴욕 등 해외 현지 법인에 근무하는 9명을 빼면 국내 비정규직은 단시간 근로자 5명뿐이다. 문재인 정부가 추구하는 ‘비정규직 제로’를 사실상 구현하고 있다. 하지만 삼성증권은 최근 3년간 534명이 감원돼 업계에서 고용을 가장 많이 줄였다. 문재인 정부의 또 다른 고용 정책인 일자리 창출은 미흡한 셈이다.
이미지 확대
●업종별 특성 다른데… 적용 고충

메리츠종금증권은 1492명의 직원 중 무려 1019명(68.3%)이 비정규직이다. 단순히 비정규직 비중만 본다면 문재인 정부와 코드가 맞지 않는다. 그러나 메리츠종금은 최근 3년간 565명의 직원을 늘려 증권가 일자리 창출 일등공신이다. 2015년 직원 수 250여명의 아이엠투자증권을 인수한 영향도 있지만 이후에도 꾸준히 채용을 늘렸다. 최근 3년간 직원이 100명 이상 늘어난 증권사는 대우증권 인력을 흡수한 미래에셋대우, 현대증권과 합친 KB증권 외에는 메리츠종금이 유일하다.

증권가의 딜레마는 일자리 창출과 고용 안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좇는 문재인 정부의 고민을 상징적으로 반영한다. 증권업은 이직이 잦고 성과에 연동한 고액 연봉 전문계약직이 많아 일자리를 만들면서도 정규직을 늘리는 게 쉽지 않다. 문재인 정부 체제에서 재계가 채용을 늘리는 ‘메리츠종금식’을 선택할지, 비정규직을 줄이는 ‘삼성증권식’을 선택할지 관심이 쏠린다.

●증권·선물업 75% 연봉 5000만원↑

30일 금융위원회의 ‘2016년 금융인력 기초 통계 및 수급 전망’을 보면 금융업 전체 종사자 중 정규직 비중은 91%에 달하지만 증권·선물업은 81.1%로 10% 포인트 가까이 낮다. 하지만 성과주의 문화가 강한 증권·선물의 비정규직이 정부에서 개선하려고 하는 열악한 처우의 근로자로 보기는 어렵다. 증권·선물의 연봉 5000만원 이상 비율은 75.3%로 자산운용·신탁(70.3%)과 은행(67.3%)을 제치고 가장 높다.

메리츠종금 측은 “근무 기간을 보장하지 않는 대신 능력 있는 사람에게 고액 연봉을 주는 채용 방식은 인력 수급을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요인”이라며 “정규직 전환을 늘리는 등의 변화를 줄 계획은 없지만 인재는 언제든지 채용한다는 원칙에 따라 일자리는 더 창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무리한 전환 역효과… 투 트랙 필요”

삼성증권 측은 “4~5년 전부터 비정규직을 꾸준히 줄여 오고 있다”면서 “현재로서는 신규 채용을 늘릴 여력이 별로 없다”고 토로했다. NH농협금융지주 산하 NH투자증권도 고민에 빠졌다. 최근 농협중앙회가 계열사 비정규직 520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동참을 요구받고 있기 때문이다. NH투자증권 관계자는 “증권업은 다른 업종의 비정규직 전환 문제와 함께 다루기는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실장은 “증권업의 전문계약직을 무리하게 정규직으로 전환하면 인센티브가 줄어들고 동기 부여가 상실되는 등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며 “그러나 증권업에도 열악한 처우의 차별받는 비정규직이 분명히 존재하는 만큼 이들에 대해선 정규직 전환을 장려하는 ‘투 트랙’ 해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17-05-31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