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도 무인 해양과학기지 전경.
이어도는 제주 마라도 남서쪽으로 149㎞ 떨어진 곳에 있는 수중 암초로 10m 이상의 높은 파도가 몰아칠 때만 순간적으로 그 모습을 볼 수 있어 전설 속의 섬으로 불린다. 이곳에는 한반도로 접근하는 태풍 등 해양·기상현상과 기후변화를 감시하기 위해 2003년 무인 해양과학기지가 설치돼 운영되고 있다.
설문 결과, 이어도에 대한 인지도는 89%로 10명 중 9명이 알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인지도는 66%였다. 이어도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로 제주 민요·설화(39%), 해양과학기지(22%), 해양수산자원(14.1%) 등을 꼽았다. 해양과학기지의 이미지로는 해양과학 전진기지(47%), 해양주권의 상징(27%), 해양 갈등과 분쟁(14%) 등을 떠올렸다.
이어도가 국토 최남단 마라도 남쪽에 있는 것을 알고 있다는 응답자는 82%였고, 이어도가 섬이 아니라 수중 암초라는 것을 아는 응답자는 52%에 그쳤다.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의 역할을 아는 응답자는 69%, 그 역할이 중요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87%로 집계됐다.
해양영토를 관리하려고 정부가 추진해야 할 관리방안을 묻는 항목에는 ‘주변국과의 적극적인 해양경계 획정 협상’이 33%로 가장 많았다. ‘외국어선 불법 어업단속 및 처벌 강화(29%)’, ‘법·제도 개선 및 강화(15%)’, ‘해양경찰 경비력 증강(14%)’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또한, ‘독도는 우리 땅’과 같이 ‘이어도는 우리 바다’라는 주장에는 91%가 동의한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87%가 이어도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이해를 높이기 위한 교육·홍보활동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를 널리 알리려면 국제 현안 대응을 위한 해양과학기지 활용 공동연구(38%), 수집·생산자료와 정보의 국제적 공유(24%), 해양 관련 국제기구 등과의 협력 확대(24%)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답했다.
홍래형 국립해양조사원장은 “이번 조사는 이어도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에 대한 국민의 인식 수준은 물론, 앞으로 해양영토 주권 수호를 위한 정책 및 홍보방향을 가늠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있었다”며, “정기적으로 조사를 진행하고, 이어도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