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지원금 뚫렸나… 카드정보 90만건 해외서 샜는데, 당국은 깜깜

재난지원금 뚫렸나… 카드정보 90만건 해외서 샜는데, 당국은 깜깜

입력 2020-06-09 02:20
수정 2020-06-09 03: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해외 다크웹서 국내 카드정보 불법 거래”

싱가포르 보안업체가 韓금융당국에 통보
포스단말기 해킹→이메일 유출→해외로
감시 작동 안 된 당국, 뒤늦게 “피해 확인중”
복제카드로 재난지원금 쓸 가능성에 촉각
여신協 “부정사용땐 빠른 시일 내 재발급”
이미지 확대
싱가포르 보안업체가 최근 해외 인터넷 암시장에서 대량으로 불법 거래되는 국내 고객들의 카드정보를 파악해 우리 금융당국에 통보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외 보안업체가 이런 사실을 파악하는 동안 금융당국의 감시 기능은 전혀 작동하지 않아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불법 거래된 카드 정보로 만들어진 복제카드를 통해 정부 긴급재난지원금이 무작위로 사용될 수 있어 금융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8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싱가포르 사설 보안업체는 지난 4월 특정 프로그램을 통해서만 접속이 가능한 ‘다크웹’을 통한 인터넷 암시장에서 국내 고객들의 카드 정보 90만건이 불법 거래되는 사실을 확인하고 금융보안원에 통보했다. 금융보안원은 금융감독원에 알린 뒤 지난달 중순 국내 전 카드사에 불법 거래된 카드 정보를 나눠 주고 카드사별 분류 뒤 소비자 피해예방 조치를 하라고 통지했다. 여신협회 관계자는 “국내 카드사들이 불법 거래된 카드 정보를 받은 뒤 유효카드 정보 여부와 피해 규모 등을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과 카드사들은 불법 거래된 카드 정보가 오는 8월 31일까지인 재난지원금 사용 시기와 맞물려 있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여신협회 관계자는 “재난지원금 사용 카드 정보가 유출돼 부정 사용될 경우 빠른 시일 내 재발급 신청을 하도록 할 것”이라며 “복제카드를 통한 재난지원금 불법 사용이 없도록 적극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금융당국과 카드사들은 불법 거래된 카드 정보 90만건이 포스(POS)단말기 해킹을 통해 해외로 빠져나간 것으로 파악했다. 포스단말기는 백화점·편의점·식당·프랜차이즈 업소 등에 설치된 카드 결제용 판매·재고관리 단말기다. 카드번호와 유효기간 등 모든 신용카드 정보가 고스란히 저장돼 있다. 하드와 소프트웨어로 이뤄진 일반 PC와 같아 범죄조직들의 해킹 표적이 되고 있다.

포스단말기 내 신용카드 정보는 ‘이메일 해킹’을 통해 해외로 빠져나간다. 해커들이 전국 카드 가맹점의 포스단말기에 악성코드를 심어 놓은 뒤 고객들이 카드를 긁는 순간 정보를 미리 지정해 둔 이메일 주소로 받는 수법이다. 해킹을 통해 빠져나가는 신용카드 트랙 정보엔 카드번호, 유효기간, 카드 비밀번호 암호화값 등이 담겨 있다.

유출 카드 정보는 카드 트랙 정보나 트랙 정보를 이용해 만든 위조카드, 두 가지 형태로 다크웹을 통해 세계 곳곳에서 암호화폐로 거래된다. 트랙 정보는 1건당 최소 50달러에서 수백 달러에 팔린다.

문제는 포스단말기 해킹을 통해 지금도 고객 카드 정보가 실시간 국외로 빠져나가고 있지만 해킹을 당한 가맹점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피해 규모가) 한두 건이 아니기 때문에 확인하기가 어렵다”면서 “전체적으로 다 조사를 해 봐야 한다”고 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윤연정 기자 yj2gaze@seoul.co.kr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20-06-09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애도기간 중 연예인들의 SNS 활동 어떻게 생각하나요?
제주항공 참사로 179명의 승객이 사망한 가운데 정부는 지난 1월 4일까지를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했습니다. 해당기간에 자신의 SNS에 근황사진 등을 올린 일부 연예인들이 애도기간에 맞지 않는 경솔한 행동이라고 대중의 지탄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애도기간에 이런 행동은 경솔하다고 생각한다.
표현의 자유고 애도를 강요하는 것은 안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