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협상 타결 전까지는 기존 특혜 유지
외국서 한국 개도국 지위 인정 안 하는데다
브라질 싱가포르 등도 개도국 지위 포기
농업예산 증액 국회와 협의하기로
청년영농지원금, 농지은행 등 확대키로
우리 정부가 앞으로 진행될 세계무역기구(WTO) 협상부터 개발도상국 특혜를 주장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앞으로의 협상까지 상당한 기간이 걸려 당장 농업 분야에 대한 영향은 없다고 밝혔다. 농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공익형 직불제 등을 도입하고 향후 농업예산 증액을 추진하기로 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외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한 뒤 “미래에 WTO 협상이 전개되는 경우 개도국 특혜를 주장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홍 부총리는 “우리 농업의 민감분야는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고 협상할 권리를 보유·행사한다는 전제”라면서 “이번 의사결정 과정에서 쌀 등 민감품목에 대해 별도 협상권한을 확인하고, 개도국 지위 포기가 아닌 미래 협상에 한해 특혜를 주장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우리가 개도국 특혜를 주장하지 않더라도 이는 미래 WTO 협상부터 적용되는 것이기에 새로운 협상이 타결되기 전까지는 기존 협상을 통해 이미 확보한 특혜는 변동 없이 계속 유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홍 부총리는 현재 DDA(도하개발어젠다) 농업협상이 장기간 중단돼 사실상 폐기 상태에 있는데 협상이 재개돼 타결되려면 상당한 기간이 걸리는 만큼, 이번 결정에도 당장 농업분야에 미치는 영향은 없고 미래 협상에 대비할 시간과 여력도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1995년 WTO 가입 때 개도국임을 주장했지만 1996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을 계기로 농업과 기후변화 분야 외에는 개도국 특혜를 주장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우리나라는 농업 분야에서 개도국 특혜를 인정받으면서 그동안 관세 및 보조금 감축률과 이행 기간 등에서 선진국에 비해 혜택을 누려왔다.
홍 부총리는 “최근 WTO 내에서 선진국뿐 아니라 개도국들도 우리의 개도국 특혜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데다 우리와 경제 위상이 비슷하거나 낮은 싱가포르, 브라질, 타이완 등 다수 국가가 향후 개도국 특혜를 주장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면서 “개도국 특혜에 관한 결정을 미룬다고 하더라도 향후 WTO 협상에서 우리에게 개도국 혜택을 인정해줄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결정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결정이 늦어질수록 대외적 명분과 협상력 모두를 잃어버리는 결과를 초래할 우려가 크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농업 경쟁력 강화 방향도 밝혔다. WTO가 규제하는 보조금에 해당하지 않는 ‘공익형 직불제’를 조속히 도입하고, 국회에서 진행될 내년도 예산안 심의 과정에서 농업예산 증액 등에 적극적인 자세를 갖고 논의하겠다고 했다.
이와 함께 청년·후계농 육성을 위한 청년영농정착지원금 제도와 농지은행 등의 사업을 확대하고, 국내 농산물 수요를 넓히기 위한 지역 생산물 지원 강화 및 주요 채소류 가격 안정제를 지속해서 확산시킬 계획이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7월 26일 경제적 발전도가 높은 국가가 WTO 내 개도국 지위를 이용해 특혜를 누리고 있다며 WTO가 90일 내 이 문제에 실질적 진전을 이뤄내지 못하면 미국 차원에서 이들 국가에 대한 개도국 대우를 일방적으로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제시한 마감 시한은 지난 23일까지였다.
이두걸 기자 douzirl@seoul.co.kr
외국서 한국 개도국 지위 인정 안 하는데다
브라질 싱가포르 등도 개도국 지위 포기
농업예산 증액 국회와 협의하기로
청년영농지원금, 농지은행 등 확대키로
김현수 농림부 장관(왼쪽부터)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노형욱 국무조정실장 등이 25일 WTO 개도국 지위 포기 결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외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한 뒤 “미래에 WTO 협상이 전개되는 경우 개도국 특혜를 주장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홍 부총리는 “우리 농업의 민감분야는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고 협상할 권리를 보유·행사한다는 전제”라면서 “이번 의사결정 과정에서 쌀 등 민감품목에 대해 별도 협상권한을 확인하고, 개도국 지위 포기가 아닌 미래 협상에 한해 특혜를 주장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우리가 개도국 특혜를 주장하지 않더라도 이는 미래 WTO 협상부터 적용되는 것이기에 새로운 협상이 타결되기 전까지는 기존 협상을 통해 이미 확보한 특혜는 변동 없이 계속 유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홍 부총리는 현재 DDA(도하개발어젠다) 농업협상이 장기간 중단돼 사실상 폐기 상태에 있는데 협상이 재개돼 타결되려면 상당한 기간이 걸리는 만큼, 이번 결정에도 당장 농업분야에 미치는 영향은 없고 미래 협상에 대비할 시간과 여력도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1995년 WTO 가입 때 개도국임을 주장했지만 1996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을 계기로 농업과 기후변화 분야 외에는 개도국 특혜를 주장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우리나라는 농업 분야에서 개도국 특혜를 인정받으면서 그동안 관세 및 보조금 감축률과 이행 기간 등에서 선진국에 비해 혜택을 누려왔다.
홍 부총리는 “최근 WTO 내에서 선진국뿐 아니라 개도국들도 우리의 개도국 특혜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데다 우리와 경제 위상이 비슷하거나 낮은 싱가포르, 브라질, 타이완 등 다수 국가가 향후 개도국 특혜를 주장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면서 “개도국 특혜에 관한 결정을 미룬다고 하더라도 향후 WTO 협상에서 우리에게 개도국 혜택을 인정해줄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결정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결정이 늦어질수록 대외적 명분과 협상력 모두를 잃어버리는 결과를 초래할 우려가 크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농업 경쟁력 강화 방향도 밝혔다. WTO가 규제하는 보조금에 해당하지 않는 ‘공익형 직불제’를 조속히 도입하고, 국회에서 진행될 내년도 예산안 심의 과정에서 농업예산 증액 등에 적극적인 자세를 갖고 논의하겠다고 했다.
이와 함께 청년·후계농 육성을 위한 청년영농정착지원금 제도와 농지은행 등의 사업을 확대하고, 국내 농산물 수요를 넓히기 위한 지역 생산물 지원 강화 및 주요 채소류 가격 안정제를 지속해서 확산시킬 계획이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7월 26일 경제적 발전도가 높은 국가가 WTO 내 개도국 지위를 이용해 특혜를 누리고 있다며 WTO가 90일 내 이 문제에 실질적 진전을 이뤄내지 못하면 미국 차원에서 이들 국가에 대한 개도국 대우를 일방적으로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제시한 마감 시한은 지난 23일까지였다.
이두걸 기자 douzir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