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액 채무탕감, 삶을 바꾸다] “빚의 덫 풀어 성장동력으로…버티면 된다 잘못된 신호 줄 수도”

[소액 채무탕감, 삶을 바꾸다] “빚의 덫 풀어 성장동력으로…버티면 된다 잘못된 신호 줄 수도”

최선을 기자
입력 2018-01-11 22:36
수정 2018-01-11 23: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하>文정부 빚탕감 정책, 빛 보려면…전문가들의 기대와 우려

올해 본격 시행될 ‘문재인표 빚 탕감 정책’은 과도한 빚 때문에 오랜 기간 고통받은 사람들에게 재기의 기회를 주자는 취지로 도입됐다. 원금을 100% 없애 주는 유례없는 빚 탕감 정책으로 주목받았다. 원금 1000만원 이하 빚을 10년 이상 갚지 못한 장기 소액 연체자 159만명이 대상이다. 사실상 상환 능력이 없는 취약계층을 생산 현장으로 돌아오게 하는 것이 사회 전체 성장에 도움이 된다는 공감대가 상당수 형성돼 있다. 하지만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성실하게 빚을 갚아 온 사람들과의 형평성 논란도 동시에 제기된다. 또한 빚 탕감에 소요되는 재원을 민간 금융사의 출연금 등으로 마련하기로 해 관치 논란이 불거졌다. 정부의 소액 채무탕감 정책이 형평성 논란을 줄이고 긍정적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전문가 제언을 들어 봤다.
이미지 확대
벼랑 끝에 선 서민들의 빚을 줄여 주는 정책은 김대중 정부의 ‘농가부채 탕감’, 이명박 정부의 ‘저신용자 이자 감면’, 박근혜 정부의 ‘국민행복기금 설립’ 등으로 이어져 왔다. 문재인 정부는 저소득 소외계층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고 장기 연체자의 재기를 도와 지속 가능한 성장 토대를 만든다는 ‘포용적 금융’ 실현을 위해 유례 없는 100% 탕감 정책을 내놓았다.  서울신문 DB
벼랑 끝에 선 서민들의 빚을 줄여 주는 정책은 김대중 정부의 ‘농가부채 탕감’, 이명박 정부의 ‘저신용자 이자 감면’, 박근혜 정부의 ‘국민행복기금 설립’ 등으로 이어져 왔다. 문재인 정부는 저소득 소외계층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고 장기 연체자의 재기를 도와 지속 가능한 성장 토대를 만든다는 ‘포용적 금융’ 실현을 위해 유례 없는 100% 탕감 정책을 내놓았다.
서울신문 DB
전문가들은 채권추심의 압박에도 10년 동안 1000만원을 못 갚은 채무자라면 빚을 탕감해 새로운 기회를 주는 것이 생산적이라는 점에 공감했다. 다만 ‘빚을 갚지 않고 버티면 된다’는 잘못된 신호를 시장에 전달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상환 능력 심사를 철저히 하고 구직 활동과 연계해 탕감의 범위를 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형평성 논란을 줄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채권이 부실화한 것은 애초에 상환 능력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한 금융회사의 책임도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미지 확대
우선 가장 큰 우려는 ‘성실 상환자’들의 상실감이다. 금융위원회가 지난해 빚 탕감 정책을 발표하면서 “일회성 대책이고 한시적 조치”라고 강조했지만 결국 빚을 갚지 않고 버티면 정부가 채무를 없애 준다는 기대감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윤창현 서울시립대 경영학부 교수는 11일 “탕감 대상자에겐 좋은 일이지만 이에 해당되지 않는 채무자들에겐 버림받은 느낌을 줄 수 있다”면서 “특히 원금이 1000만원을 조금 넘어 커트라인에 걸린 채무자들은 상대적 박탈감이 심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윤 교수는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할 정책을 정권이 바뀐 첫해에 급하게 내놓은 느낌”이라면서 “정부가 신중한 모습을 보여 줘야 형평성 논란이 가라앉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또 다른 논란은 재원 마련 방식이다. 금융위는 금융기관의 출연금이나 시민사회단체의 기부금 등으로 부실 채권을 매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빚 탕감에 국민 세금은 쓰지 않겠다는 뜻이다. 이에 대해 ‘민간 금융사의 팔을 비트는 꼴’이라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왔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1000만원 이하 소액임에도 갚지 못해 장기간 시달린 사람들에게 애초에 대출해 준 것은 금융기관의 도덕적 해이”라고 꼬집었다.

전문가들은 채무 탕감 대상을 ‘상환 능력이 없는 사람’으로 골라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재산, 소득에 대한 심사를 철저히 해 도덕적 해이를 방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박창균 중앙대 경영학과 교수는 “채무자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도저히 못 갚을 사람들만 탕감해 주는 게 맞다”면서 “이는 이미 금융사도 받을 생각을 접은 채권으로 탕감은 종이를 태우는 ‘세리머니’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박 교수는 “조용히 취약계층의 재기를 도와야지 정부가 나서서 ‘몇만명 혜택’이라고 광고하는 것은 오히려 탕감을 못 받은 사람들의 반감만 키울 뿐”이라고 덧붙였다.

구직 활동과 탕감 정도를 연계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금액 조건만 맞춘다고 무조건 다 탕감해 주는 게 아니라 분명한 원칙을 세워야 한다”면서 “일을 할 수 있는 젊은 사람들의 경우 구직 활동 노력이 보이는 경우에만 탕감을 해 주는 방향으로 가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기존에 있던 국민행복기금은 취약계층의 채무 조정과 동시에 취업 지원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돈을 빌려준 금융사가 일종의 보험사 역할을 하기 때문에 형평성 논란이 타당하지 않다는 주장도 있다. 금융사는 대출을 해줄 때 부도나 연체를 예상하고 가산금리 형태로 돈을 걷는다. 가산금리를 내고도 돈을 다 갚는 사람이 있고 끝내 갚지 못하는 사람도 나오게 되니 애초에 돈(가산금리)을 걷은 금융사가 연체자에 대한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논리다. 전성인 홍익대 경제학부 교수는 “현재의 파산 제도는 부도난 사람을 나쁜 사람이 아니라 불운한 사람으로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전 교수는 “보험사가 불난 집에만 보험금을 주고 불이 안 난 집에는 보험금을 안 준다고 욕하는 사람은 없다”면서 “장기 소액 연체자도 우연히 운이 나빠서 불이 난 집으로 여긴다면 형평성 논란은 애초에 나올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2018-01-12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