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우리나라 대표 곡창지대 김해·김포평야가 사라진다...사회교과서도 바꿔야할 판

[단독]우리나라 대표 곡창지대 김해·김포평야가 사라진다...사회교과서도 바꿔야할 판

김경두 기자
김경두 기자
입력 2016-07-27 16:52
수정 2016-07-27 16: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김해평야 경지면적 40년 전보다 64% 급감...개발에 밀려 농지 전용 잇따라

김해평야 전경
김해평야 전경 2013년 9월 부산 상공에서 바라본 김해평야 모습. 김해평야의 경지 면적이 개발 수요에 밀려 갈수록 줄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논 면적이 40년전보다 70%가량 쪼그라들었다.

사진=서울신문
우리나라의 대표 곡창지대인 김포평야와 김해평야의 경지 면적이 갈수록 쪼그라들고 있다. 이제는 곡창지대를 뜻하는 ‘평야’라고 부르기가 적절치 않을 정도다. 초등학교·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수록된 김포·김해평야의 내용을 뜯어고쳐야 할 상황이다. 지금처럼 개발 논리에 밀려 농지가 빠르게 줄어든다면 드넓은 들판에서 벼가 익어가는 김포·김해평야의 모습은 시나브로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27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어촌공사에 따르면 김포평야의 주무대인 김포의 경지 면적은 지난해말 기준 7701㏊(논 5488㏊, 밭 2213㏊)로 통계청이 경지 면적 집계를 시작한 1975년(1만 6228㏊)보다 52.5% 감소했다. 특히 벼농사를 짓는 논 면적은 53.7%가량 줄었다. 김해평야는 이보다 더 심각하다. 김해의 경지 면적은 8153㏊(논 5080㏊, 밭 3073㏊)로 1975년(2만 2488㏊)보다 63.7% 감소했다. 논 면적은 무려 70.2%나 급감했다.

경지 면적을 연도별로 보면 김포는 1980년 1만 6114㏊(논·밭 포함), 1985년 1만 5442㏊, 1990년 1만 3905㏊, 1995년 1만 1134㏊, 2000년 1만 362㏊, 2005년 9928㏊, 2010년 8164㏊로 1980년대 후반부터 경지 면적이 빠르게 감소했다. 김해도 1980년 1만 7776㏊, 1985년 1만 4658㏊, 1990년 1만 1590㏊, 1995년 1만 2255㏊, 2000년 1만 698㏊, 2005년 1만 161㏊, 2010년 8862㏊로 집계됐다. 1995년 예외적으로 경지 면적이 늘었지만 개발 수요가 폭발하면서 농지가 점점 감소하는 모습이다.

농어촌공사 관계자는 “김포 지역의 경지 면적만 따졌을 때 절반가량 줄었지만 파주와 고양, 김포를 아우르는 김포평야로 확대한다면 신도시 형성과 산업단지 조성 등으로 경지 면적 감소율이 이보다 훨씬 클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평야의 경지 면적과 비교하면 김포·김해평야가 얼마나 빠르게 농지가 줄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수도권 곡창지대의 또다른 축인 평택평야는 40년 전과 큰 차이가 없다. 1975년 평택의 경지 면적은 2만 3712㏊로 지난해(1만 9684㏊)보다 17.0% 줄었다. 우리나라의 최대 곡창지대인 김제평야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지난해 김제의 경지 면적은 2만 7828㏊로 40년 전보다 12.1% 감소했다. 나주평야의 주무대인 나주의 경지 면적은 40년 전보다 15.3% 줄었고, 예산평야의 경지 면적은 11.4% 감소했다. 반면 당진은 40년 전보다 오히려 경지 면적이 증가했다. 1975년 경지 면적이 2만 4093㏊였던 당진은 지난해 2만 5422㏊로 소폭 늘었다. 서산 간척지가 들어서면서 농지가 확대됐기 때문이다.

이처럼 김포·김해평야의 경지 면적이 큰 폭으로 감소한 까닭은 지역적 특성에 따른 개발 수요가 다른 어떤 곳보다 많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김포·김해평야는 서울과 인천, 부산 등 대도시와 맞닿아 있어 대규모 택지개발과 산업단지 개발이 수시로 진행됐다”면서 “지금도 도시 외연이 확대되고 있어 앞으로도 김포·김해평야의 경지 면적은 계속 줄어들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경지 면적은 167만 9000㏊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농지가 전용되면서 나타난 결과다. 2014년 전용된 면적은 1만 718㏊로 전체 경지 면적의 0.6% 수준이다. 이 중 공용·공익시설로 3950㏊, 주택으로는 2311㏊가 전용됐다. 국회 입법조사처 측은 “전용된 농지를 다시 농지로 복원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면서 “농업진흥지역을 더욱 엄격하게 관리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부는 올해 경제 활성화와 규제 개혁을 위해 전체 농업진흥지역 중 10만㏊를 해제 완화할 계획이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