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 in 비즈] 한국 기업 ‘샌드위치론’도 사치다

[비즈 in 비즈] 한국 기업 ‘샌드위치론’도 사치다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16-07-05 22:10
수정 2016-07-05 23: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2014년 기준으로 중국 상장기업들이 수익성·성장성·자산규모·특허출원수·해외 인수합병(M&A) 금액 등 5가지 지표에서 한국 상장사들을 앞섰다. 한국 기업은 노동생산성·연구개발(R&D) 비중·해외매출 비중 등 3가지를 앞섰다.’

한국경제연구원이 5일 발표한 ‘한·중 양국의 기업경쟁력 분석’ 보고서 내용들이 아주 낯선 상식으로 들리십니까. 기업 현장에서는 확인사살 당했다는 기류가 강합니다. 김산월 국민대 경제학부 교수가 집필한 이 보고서가 단지 샤오미나 알리바바를 과잉해석한 결과가 아니란 평가입니다. 사실 중국 증시에 상장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 두 중국 혁신기업은 조사 대상에도 안 들었습니다.

한때 따라잡히지 않되 선두와의 격차를 좁히는 데 골몰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2007년 설파했던 ‘일본과 중국 사이 한국경제, 샌드위치 경제론’입니다. 그로부터 10년이 채 안 돼 이날 나온 김 교수의 보고서가 단순히 ‘급기야 우리가 중국에 따라잡혔다’고 쉽게 읽히지 않습니다. 중국 기업들이 경쟁력 향상 최종 단계에서 시행 중인 ‘변칙’ 때문입니다.

기술 수준별 R&D 투자 지표를 볼까요. 중국 저기술 기업들은 2008년부터, 중기술 기업들은 2011년부터 한국 기업보다 더 많이 R&D 투자(매출액 대비 R&D 비중)를 했지만 여전히 2014년까지 중국 고기술 기업의 R&D 비중은 한국 기업의 59%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그런데 중국 기업들은 이 단계에서 해외 M&A를 감행해 비약적으로 고기술을 습득합니다. 중국 정부는 쩌우추취(走出去·해외로 나간다는 뜻) 전략을 펴고, 대기업과 함께 자국 내 기술개발형 펀드를 조성하는 식으로 기업들을 지원합니다.

사실 우리 눈에 변칙일 뿐 중국 기업들의 고기술 습득 전략은 미국 실리콘밸리 혁신 기업들의 세계와 상통합니다. 생태계 경쟁에서 이긴 기업이 샌드위치 끝단에서 단번에 세계 최강 자리로 오르고, 샌드위치 앞단에 있는 줄 안심하다 급거에 위기에 빠지는 세계 말입니다. 경제발전의 필요조건 격인 저기술·중기술을 습득한 중국 기업은 이제 기존 경로를 따르지 않고, 비선형적 혁신 대열에 적극 뛰어들었습니다. 돌이켜 보면 ‘일본-한국-중국의 선형식 경제발전론’에 갇혔던 게 우리의 진짜 위기였습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6-07-0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