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반도체용 희귀가스 생산… 中기업과 협력 계약

포스코, 반도체용 희귀가스 생산… 中기업과 협력 계약

이제훈 기자
이제훈 기자
입력 2023-12-28 01:08
수정 2023-12-28 01: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美견제 의식 지분 25% 미만 유지
내년 전남 광양 동호안 공장 착공
2025년부터 연생산 13만N㎥ 기대

포스코홀딩스가 중국 중타이 크라이어제닉 테크놀로지(杭州中泰深冷技術)와 반도체 생산용 고순도 희귀가스 생산을 위한 합작 계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미국의 반도체지원법을 의식해 중국 회사의 지분은 25% 미만으로 하기로 했다.

포스코홀딩스는 “네온과 제논, 크립톤 등 국내 고순도 희귀가스 수요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중타이사와 합작해 연산 13만N㎥(노멀세제곱미터)의 고순도 희귀가스 생산공장을 설립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2024년 내에 광양 동호안 부지에 공장을 착공하고 2025년 말부터 상업 생산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포스코홀딩스 관계자는 “미국 반도체지원법에 따라 우려 대상국 지분이 25% 이상이면 법인도 우려 대상 법인으로 간주될 위험이 있어 중타이사의 지분율을 24.9%로 협의했다”고 설명했다. 포스코홀딩스는 75.1%의 지분을 보유한다.

연산 13만N㎥는 국내 반도체 시장의 52%를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N㎥는 0도 1기압에서 기체의 부피를 말한다. 중타이사는 가스 관련 설비 제작·엔지니어링 전문 기업이다.

포스코홀딩스는 이번 합작 계약을 통해 포스코의 제철소에서 생산되는 크루드 희귀 가스를 합작법인 생산공장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됐다. 고순도 희귀가스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공위성 추진체 등 첨단산업에 사용되는 순도 99.999%의 네온, 제논, 크립톤 가스를 말한다.

공기 중에는 극히 미량으로만 존재해 다량의 공기를 처리할 수 있는 대형 공기분리장치가 있어야만 생산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현재까지 국내 기업은 주로 미국, 중국, 우크라이나 등에서 희귀가스를 수입해 사용하고 있다.

포스코는 지난해 1월부터 고순도 희귀가스의 원재료인 크루드 네온가스를 상업 생산 중이다. 2024년부터 단계적으로 크루드 제논과 크루드 크립톤까지 생산 품목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2023-12-2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