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화재, 전이암·유사암·재발암 진단비 등 암 관련 신담보 3종

메리츠화재, 전이암·유사암·재발암 진단비 등 암 관련 신담보 3종

김성은 기자
김성은 기자
입력 2023-04-18 00:39
수정 2023-04-18 00: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메리츠화재는 지난달 손해보험업계 최초로 전이암·재발암 등을 보장하는 신담보 3종을 출시했다고 17일 밝혔다. 메리츠화재 제공
메리츠화재는 지난달 손해보험업계 최초로 전이암·재발암 등을 보장하는 신담보 3종을 출시했다고 17일 밝혔다.
메리츠화재 제공
메리츠화재가 기존 암보험의 보장 공백을 해소하고 유사암에 대한 보장을 확대하기 위해 손해보험 업계 최초로 전이암진단비 담보를 내놨다.

17일 메리츠화재에 따르면 지난달 전이암 진단비, 유사암 수술비, 재발암 및 잔여암 진단비 등 암 관련 신담보 3종을 출시했다.

메리츠화재 관계자는 “기존 암보험이 보장해 주지 않던 전이암·재발암 등을 보장할 필요성이 커져 이번 신담보 상품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전이암 진단비는 상대적으로 중증도가 낮은 림프절 전이를 비롯해 중증도가 높은 원격 전이까지 모든 단계의 전이암을 보장한다. 종전에는 원발암과 전이암을 동시에 진단받았을 경우 원발 부위 암에 대해서만 보험금을 지급했지만 이 상품은 원발·전이암을 모두 보장해 준다.

유사암 수술비(25% 체증형)는 수술 횟수에 따라 가입금액 대비 최대 두 배까지 보험금을 지급하는 특약이다. 수술 1회당 보험금 25%씩, 최대 2배까지 체증해서 지급해 유사암 보장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유사암이란 보험사들이 보장 범위를 구분하기 위해 일반암과 별도로 분류한 암으로 갑상선암이 대표적이다. 지금까지는 암보험에 가입했더라도 보장 범위에 ‘유사암 제외’라는 항목이 있을 경우 유사암에 걸렸을 때 보험금을 받지 못했다.

재발암 및 잔여암 진단비는 첫 번째 암이 발생한 뒤 2년 후 동일한 암종이 재발하거나 암세포가 남아 있으면 최초 1회에 한해 보장받을 수 있게 했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가 발표한 ‘2020년 국가암등록통계’를 보면 우리 국민의 기대 수명은 83.5세로, 기대 수명 기간 암에 걸릴 확률은 36.9%로 집계됐다.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5년간 암을 진단받은 환자의 5년간 생존율은 71.5%로 집계됐다. 환자 10명 중 7명이 5년 이상 생존했다는 의미다.

또한 국가암등록사업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신규 암 발생자 가운데 전이암 발생자는 46.1%로 비중이 높았다.

5년 상대생존율은 인접 조직이나 림프절 전이 등 국소 진행 시 73.4%, 다른 부위로 원격 전이 시 24.4%로 나타났다. 생존율이 100%에 가까운 갑상선암의 경우도 원격 전이가 일어나면 생존율이 61.0%로 낮아진다.
2023-04-18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