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韓 중산층 현주소’ 보고서
통계청 중위소득 50~150% 비중최근 10년간 61.1%로 6.2%P↑
자녀세대 계층 이동 가능성 급감
“정부 이전지출 지속가능성 부족
중산층 강화 좋은 일자리로 창출”
이영욱 한국개발연구원(KDI) 재정·사회정책연구부장이 3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한국 중산층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세종 연합뉴스
세종 연합뉴스
이영욱 한국개발연구원(KDI) 재정·사회정책연구부장은 31일 이런 내용의 ‘우리나라 중산층의 현주소와 정책과제’ 보고서를 발표했다.
통계청이 주로 활용하는 중산층 기준인 중위소득 50~150% 비중은 처분가능소득 기준 2011년 54.9%에서 2021년 61.1%로 늘었다. 다만 시장소득 기준 중산층 비중은 같은 기간 49.8%에서 51.5%로 소폭 상승했다. 처분가능소득은 근로·사업소득 등 시장소득에 연금·지원금 등 정부의 이전소득 및 이전지출을 포함한 개념이다. 처분가능소득 기준 중산층 비중이 시장소득 기준보다 높다는 것은 정부의 복지 혜택이 중산층 확대를 견인하고 있다는 의미다.
반면 계층 이동 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낮아졌다. ‘노력한다면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을 묻자 ‘매우 높다’와 ‘비교적 높다’는 응답은 2011년 28.8%에서 2021년 25.2%로, ‘자녀 세대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는 응답은 2011년 41.7%에서 2021년 29.3%로 급감했다.
이 연구부장은 계층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으로 근로소득을 꼽았다. 빈곤층에서 중산층으로 상향 이동은 가구 내 취업자 수 증가 및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가구주의 소득 증가와 함께 이뤄지는 경향을 보인다. 그는 또 “정부의 이전지출을 통한 중산층 확대만으로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있으며, 상향 이동에 대한 기대로 이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뚜렷하다”며 “중산층 강화엔 좋은 일자리 창출과 가구 내 추가 취업자 증가가 필수”라고 분석했다.
2023-02-01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