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총재 ‘빚투’ 경고…“작은 충격에도 흔들릴 수 있다”

이주열 총재 ‘빚투’ 경고…“작은 충격에도 흔들릴 수 있다”

유대근 기자
입력 2021-01-15 13:37
수정 2021-01-15 13: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 코로나 장기화 등 변수 지목
“여러 지표로 볼 때 국내 증시 상승 대단히 빨라
취약계층 어려움 커 금리 기조 변화 언급 일러
4차 재난지원금 보편 지급보다 선별이 낫다”
의사봉 두드리는 이주열 총재
의사봉 두드리는 이주열 총재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 참석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1.1.15
한국은행 제공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5일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동결 결정을 발표하면서 “(현재 국내 증시 상승이) 여러 지표로 볼 때 대단히 빠른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완화적인 주요국 통화정책 방향이 조정되거나 예측하지 못한 지정학적 리스크가 발생하는 등 작은 악재라도 불거지면 증시가 크게 출렁일 수 있다는 얘기다. 예측 어려운 장세에서 ‘빚투’(빚내서 투자)하는 것은 감당하기 어려운 손해를 낳을 수 있다고도 경고했다. 다음은 이 총재의 일문일답.

-코로나19 3차 확산세가 지난 4분기와 올 1분기에 미칠 타격은.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상향의 영향으로 소비가 지난 11월 전망 때 봤던 것보다 부진하다. 앞선 두 차례 확산기에 비해 충격의 정도가 훨씬 클 것으로 예상한다. 소비가 예상보다 부진하지만 IT(정보기술) 부문을 중심으로 한 수출과 설비투자가 양호한 흐름을 보여 (올해) 전체 성장률은 지난 11월 전망치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백신 접종이 구체화되고 있는데 올해 경제 전망할 때 가정했던 시나리오와 차이가 있나.

“국내외 백신 접종이 지난해 11월 전망할 때와 비교해 1분기 정도 앞당겨졌다. 주요 선진국은 백신 접종이 올해 들어 시작될 것으로 봤는데 영국과 미국에서는 이미 접종이 시작됐다. 또 국내에서는 올해 중반 돼서 접종 시작될 걸로 봤는데 정부가 다음 달부터 접종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곧 구체적인 접종 계획을 발표할 예정으로 안다. 앞으로 경제 흐름을 내다볼 때 이를 감안해 살펴볼 것이다.”

-코스피가 최근 급등한 것을 두고 버블이라는 지적과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기업 저평가 현상) 해소 과정이라는 의견이 나오는데.

“단지 버블이냐, 아니냐를 판단하는 건 어렵다. 하지만 여러 지표를 볼 때 (주가 상승이) 대단히 빠른 건 사실이다. 저희가 우려하는 건 너무 과속하면 조그마한 충격에도 흔들릴 수 있다. 예컨대 주요국에서 완화적 통화정책이 오래갈 것이라는 낙관적 기대가 있는데 혹시 이게 바뀐다거나 사전 예측이 어려운 지정학적 리스크가 발생하거나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진다면 시장 참가자 기대가 바뀌면서 주가가 조정받을 가능성이 있다. 저희는 주가가 급격히 조정을 받을 때 미칠 시장의 불안 등을 유의하며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

-가계대출이 지난해 100조원 증가했는데 부실로 이어질 위험없나.

“지난해 크게 늘어난 가계 대출은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다만 우리나라 가계부채 수준은 코로나19 이전에도 이미 높은 수준이었다. 지난해 주택 가격 상승과 함께 가계 부채 상승이 상당히 가팔라져 이를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가계부채가 늘었지만 단기적으로 보면 금리가 이전보다 낮아졌고, 대출의 평균 만기도 이전보다 장기화됐다. 이에 따라 가계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조금 낮아진 게 사실이다. 연체율도 낮다. 현 시점에서는 가계 부채의 부실이 크게 늘어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본다.”

-개인 투자자가 신용(대출)을 동원해 주식시장에 들어오는 경우가 늘었는데.

“언론에서 ‘빚투’라는 표현을 쓰는데 과도한 레버리지에 기반한 투자 확대는 예상치 못한 충격으로 인해서 가격 조정이 있을 때 투자자가 감내하기 어려운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투자는 투자자 선택의 문제라고 할 수 있으나 레버리지를 크게 일으켜하는 투자는 주의깊게 보고 있다. 그런 면에서는 투자자가 항상 이 가능성은 염두에 둬야 한다.”

-최근 미국에서 테이퍼링(양적완화 정책의 축소) 논의가 뜨겁다. 한국은 연내 금리 정상화 가능성 있나.

“현재 소상공인이나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상당히 크다. 앞으로 경기 회복 흐름에도 불확실성이 커서 어려운 계층의 위험은 단시일 안에 해소가 어렵다. 금리 정책 기조의 변화 등을 고려할 상황이 아니다. 기조 전환과 관련한 언급을 하는 건 아직 이르다.”

-정치권에서 4차 재난지원금 논의 이뤄지고 있다. 선별지원 또는 보편지원 방식을 두고 논란있는데 어떤게 적절하다고 보나.

“재난지원금은 논쟁적 이슈라 말씀드리기 조심스럽다. 정부와 국회가 많은 사안을 고려해서 합리적인 결론을 낼 것으로 기대한다. 제 개인적인 의견을 말하자면 현상황에서는 선별적 지원이 적절하다고 본다. 코로나 위기가 예상보다 장기화하고 있어서 한정된 재원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쓸지 고려해야 한다. 코로나 피해가 집중된 소상공인이나 저소득층에 지원하는 게 효과가 높고 경기 회복 속도도 빨라진다. 이게 자원의 효율적 운용 측면에 부합한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