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슬픈 다뉴브강의 아리랑/박록삼 논설위원
어린 시절 헝가리를 떠올리면 왠지 못살고 배곯는 나라인 듯했다. 1970~80년대 냉전 시절 소련의 위성국가라는 사실까지 더해지면서 그런 이미지는 더욱 굳어지기도 했다. 하지만 그들의 역사는 한국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13세기 몽골의 침략에 인구 절반이 숨졌으며 14세기 오스만제국, 15세기 합스부르크 왕가, 19세기 오스트리아, 20세기 소련 등 역사 내내 주변국의 침략과 지배가 일상이었다. 그럼에도 독립 의지는 꺾이지 않았다. 동아시아 끝자락 더벅머리 아이의 짧은 소견과 달리 문화유산도 많고 자부심이 큰, 역사의 시련을 고비고비 뚫고 나온 나라였다.
1956년 10월 23일 20만명이 넘는 헝가리 노동자, 대학생들은 스탈린 동상을 끌어내리는 등 소련군 철수, 정치활동 자유, 민주주의 등을 요구하며 소련군을 국경 바깥으로 몰아내는 ‘헝가리 민주혁명’에 성공했다. 혁명정부는 바르샤바조약기구 탈퇴, 중립국 선언, 복수정당 허용 등 개혁 정책을 표방한다. 하지만 혁명 일주일 만에 소련군에 의해 진압됐다. 이 과정에서 1만 2000명 안팎의 시민들이 소련군 총탄에 희생됐다. 시인 김춘수(1922~2004)는 처참한 학살에 대해 ‘…/ 죽어서 한결 가비여운 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