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계에서는 닉슨이 이런 결정을 내리는 데 1970년 제작된 영화 ‘패튼 대전차 군단’(Patton)이 상당한 역할을 했다고 보는 시각이 적지 않다. 역사학자 스티븐 E 암브로스는 닉슨이 느낀 패튼의 매력을 “결단력, 자신감, 자제심, 대담한 행동” 등으로 기술하면서 “패튼은 닉슨을 포함, 무수한 미국 남성들의 모델이었다”고 했다. ‘더 디플로맷’은 한 칼럼에서 “그해 윌리엄 P 로저스 국무장관이 ‘닉슨과 대화할 때마다 영화가 나온다’고 했고, 외국 정보기관들도 영화에 대한 대통령의 집착에 주목했다”고 소개했다. 그래서 “주은래 중국 총리는 닉슨의 방중 때 영화 대본을 주문했다”고도 한다. ‘대중문화가 정책 입안자들의 세계관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한 폴 머스그레이브와 J 퍼먼 대니얼의 논문은, 패튼 같은 영화가 군사작전 개시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미국 백악관 이스트윙에는 40석짜리 작은 영화관이 하나 있다. 1942년 프랭클린 델러노 루스벨트(FDR) 대통령이 개인·가족용 영화관으로 만든 것이다. 이후 대통령들이 봤던 영화들은 대개 시기와 함께 기록으로 남아 있다. 예컨대 빌 클린턴은 1998년에 44편, 1999년에 40편의 영화를 봤지만 1996년에는 3편, 1997년에는 7편의 영화를 봤다. 르윈스키 스캔들 때문에 정신적 여유가 없었을 것으로 추정해 보게 된다. 학문적인 논쟁이 영화와 전쟁 간, 대중문화와 외교 간의 상관관계에까지 이어질 수 있는 것은 이처럼 영화 관람의 기록이 남아 있기 때문일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얼마 전 영화 ‘기생충’을 관람했다. 인터넷 기사와 댓글은 벌써 ‘영화 정치’를 언급하고 있다. 앞서 “‘암살’, ‘판도라’는 김원봉 서훈과 탈원전 정책 등에 영감을 준 것으로 알려졌다”는 내용의 기사도 있었다.
지금껏 우리 대통령들의 영화 관람은 주로 ‘메시지 전달용’으로 이해됐다. 메시지를 증폭·확산시키는 매개로서의 역할이 더 컸던 셈이다. 거꾸로 영화가 대통령의 메시지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볼 근거가 우리도 있었으면 좋겠다.
참고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좋아하는 영화는 ‘시민 케인’이라 한다.
2019-06-2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