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그전부터 응급중증외상환자 치료는 아주대 외상외과 교수인 그의 몫이었다. 하지만 세상은 그에게 열광했음에도 정작 그가 부르짖는 목소리에는 더디게 응답했다. 이 센터장은 ‘날아다니는 응급실’이라고 하는 닥터헬기 도입의 필요성을 틈만 나면 역설했고, 2011년 9월 2대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7대가 도입되는 데 그쳤다. 그조차 닥터헬기가 이착륙하고 나면 빗발치는 민원 앞에 공무원들은 쩔쩔매기 일쑤였다. 그만큼이나 이 센터장 등 응급의료진 또한 위축될 수밖에 없었다.
지난해 10월 21일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트위터에 이 센터장에게 사과하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이 센터장이 한 방송사 인터뷰에서 “서산 앞바다까지 응급출동을 다녀왔는데 경기도 소방상황실에서 ‘아파트에서 계속 민원이 들어오고 있으니 주의하라’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보냈다”고 하소연하면서였다. 당시 소방상황실은 아예 닥터헬기 기장들 연락처를 주민들에게 공개해 욕설을 감내하게 했다.
이 지사는 이 센터장에게 사과하며 “시민의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도정철학을 이해 못하고 있다”면서 공무원들을 강하게 질책했다. 그 덕분이었는지 지난 18일 경기도와 경기도교육청, 아주대병원이 학교, 공공청사 등 1832곳을 닥터헬기 이착륙장으로 사용하는 협약을 맺었다. 기존 588곳과 더하면 경기도 내 2420곳에서 이착륙이 가능하게 됐다. 이 지사는 “향후 생길 법률상 분쟁이든 배상 문제든 모든 것은 다 도에서 책임지고, 과감하게 착륙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경기도를 제외하면 헬기 이착륙장은 전국 240곳에 불과한 실정이다. 생명 존중의 문화 정착은 선진국의 지표와도 같다. 예컨대 학교 운동장의 닥터헬기 이착륙은 학습권 침해가 아닌, 오히려 학생들이 생명 존중의 가치를 생생히 배울 수 있는 기회다. 혹시 닥터헬기 이착륙 소리가 들릴 때 ‘생명이 살아나는 소리’라 여기면 우리 삶이 훨씬 넉넉해지지 않을까.
youngtan@seoul.co.kr
2019-06-2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