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위원장이 듣고 싶은 말은 북미 두 정상의 ‘좋은 관계’ 재확인을 넘어선 ‘선 비핵화·일괄타결’ 셈법을 미국이 바꿨는지에 대한 명확한 대답이다. 물론 그 대답의 실마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보낸 친서에 들어 있을 가능성도 있다.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의 방한(27~30일)도 변수다. 대북 메시지의 한미 조율을 위한 방한일 수도 있고, 북한과의 판문점 실무협의차 방문일 수도 있다.
트럼프의 DMZ 방문은 ‘협의 중’이라지만 실현될 공산이 크다. 2017년 11월 첫 방한 때 트럼프 대통령이 헬기를 타고 판문점 부근까지 갔으나 시계를 가리는 지독한 미세먼지 때문에 포기했다. 당시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DMZ 방문 무산에 대해 매우 낙담했다고 전한 바 있다. 트럼프가 DMZ에 가면 미국 대통령으로선 5번째가 된다. 1980년대 로널드 레이건에 이어 90년대에는 빌 클린턴, 조시 W 부시가, 2000년대 들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DMZ를 찾았다.
미 대통령은 DMZ 방문에서 미군이 관할하는 초소를 찾아 분단 현장을 체험하고 장병을 격려한다. 레이건은 1991년 한국군 관할로 넘어오기 전 콜리어 초소를 방문한 유일한 대통령이다. 이후 부시와 오바마는 오울렛 초소를 방문했다. 오울렛은 엄밀히 말하면 판문점에 속해 있다고 할 수 없지만, 판문점과 가깝고 군사분계선에서 25m밖에 떨어지지 않은 상징적 초소다. 부시 방문 때는 없었던 방탄유리를 오바마 때는 초소 윗부분에 둘러쳐 개성공단 등 북한 땅을 볼 수 있게 했다. 클린턴은 판문점 내 최전방 초소인 ‘돌아오지 않는 다리’를 건너 남과 북을 가르는 군사분계선까지 간 ‘간 큰’ 대통령이다. 다리 남단에는 군사분계선이라 쓰인 팻말이 있는데 대담하게 그곳을 지나 빅 뉴스가 됐다.
트럼프 방한에서 주목되는 두 가지가 DMZ에서 동시에 이뤄지는 시나리오도 있다. 오울렛 초소에서 북녘을 바라보면서 북한이 원하는 안전 담보 제공에 관한 메시지를 던진다면, 북미 교착의 돌파구가 될 수 있다. 유엔사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DMZ 방문에 대해 언급할 입장은 아니지만, 오울렛 초소에는 미국 정상이 연설을 할 만한 공간이 충분히 있다”고 말했다.
marry04@seoul.co.kr
2019-06-26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