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공공외교/문소영 논설위원
이명박 정부는 공공외교에 상당한 공을 들였다. ‘국격 고취’라며 국가브랜드위원회 같은 낯선 이름의 대통령 자문 기구가 2009년 설치된 것도 공공외교를 강화하려는 이유였다. 국가가 운영하는 공공외교(Public Diplomacy) 관련 홈페이지에서 이 개념을 “외국 국민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해 우리나라의 역사, 전통, 문화, 예술, 가치, 정책, 비전 등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고 신뢰를 확보함으로써 외교관계를 증진하고, 우리의 국가이미지와 국가 브랜드를 높여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영향력을 높이는 외교활동”이라고 정의했다.
공공외교의 시대에는 공식적인 외교적·군사적 행위에 앞서 국제여론을 등에 업어야 한다. 국제여론이 호의적이지 않으면 미국조차 ‘악의축’과의 전쟁, 테러와의 전쟁 등에서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음을 입증했다. 이렇게 국제여론이 중요해진 이유는 위성방송과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영국의 BBC월드 뉴스나 미국의 CNN 월드, 카타르의 알 자지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으로 세계에서 무슨 일이 어떻게 발생해서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누구나가 실시간으로 다 알 수 있는 지구촌으로 변화했기 때문이다. 21세기의 세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