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A형 이해력·B형 적용력 측정, 수학-계산보다 종합적 사고력 중점, 영어-EBS와 유사한 다른 지문 활용
●국어 인문계 B형, A형보다 어려워
현장 교사와 입시업체들 사이에서 난이도에 대한 평가가 엇갈렸던 국어에 대해 출제본부는 “A형(자연계열)은 기본 지식과 기능에 대한 이해력 측정의 비중을 높게, B형(인문계열)은 기본 지식과 기능에 대한 탐구·적용 능력 측정 비중을 높게 출제했다”고 설명했다. A형보다 B형을 어렵게 출제했다는 뜻이다.
A형과 B형 공통 문항이 30% 범위(15개 문항)에서 출제된 국어영역은 화법, 작문, 문법, 독서, 문학의 5개 유형으로 구성됐다. 작문 A형에서는 ‘공공 데이터’를 소재로 작문의 계획과 점검·조정 능력을 종합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문항이 나왔다. B형에서는 ‘환경 친화적 소비생활’과 관련해 설득적 목적의 작문 과제 수행 과정을 소재로 작문 능력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문항이 출제됐다.
독서 A형에서는 ‘애벌랜치 광다이오드’를 소재로 한 과학 지문, ‘과학의 추론 방법으로서의 귀납’을 소재로 한 철학 지문 등 다양한 분야의 제재를 활용한 문제가 출제됐다. B형에서는 ‘도덕적 운과 도덕적 평가’를 소재로 한 철학 지문, 폴라니의 ‘암묵지와 지식 경영론’을 소재로 한 사회 지문, ‘운동하는 물체의 종단 속도’를 소재로 한 과학 지문 등이 제시됐다. A, B형 공통 문항으로는 ‘민사 소송에서의 기판력’을 소재로 한 법학 지문이 나와 눈길을 끌었다. 문학 A, B형 공통 문항은 작자 미상의 고전 소설 ‘토끼전’ 지문과 박남수의 ‘아침이미지 I’, 김기택의 ‘풀벌레들의 작은 귀를 생각함’을 소재로 한 현대시 지문이 출제됐다.
●수학 원리, 실생활 적용 문제 출제
2교시 수학 영역에 대해 출제본부는 “복잡한 계산보다는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기본 개념을 충실히 이해한 상태에서 종합적인 사고력을 가지고 풀 수 있는 문항을 출제했다”고 밝혔다. 출제본부는 두 가지 이상의 개념, 원리, 법칙을 종합적으로 적용해야 해결할 수 있는 문항과 실생활 맥락에서 개념과 원리, 법칙 등을 적용해 해결하는 문항도 출제했다고 설명했다.
인문계열의 A형은 ‘수학I’에서 15개, ‘미적분과 통계 기본’에서 15개 문항이 출제됐고 자연계열 B형은 ‘수학I’에서 8개, ‘수학II’에서 7개, ‘적분과 통계’에서 8개, ‘기하와 벡터’에서 7개 문항이 나왔다.
구체적으로 A형에서는 행렬과 그래프의 관계를 이해하는지 묻는 문항, 지수법칙을 활용해 지수계산을 할 수 있는지 묻는 문항, 상용로그 가수의 성질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 등이 출제됐다. B형은 도함수를 활용해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는지 묻는 문항, 정적분을 활용해 회전체의 부피를 계산할 수 있는지 묻는 문항, 모집단과 표본의 뜻을 알고 표본평균과 모평균의 관계를 이해하고 있는지 묻는 문항, 삼수선의 정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 등이 나왔다.
●EBS 영어 지문 해석 암기 소용없어
EBS 연계 교재의 한글 해석본을 암기해 시험을 준비하는 문제를 개선하기로 했던 영어영역에 대해 출제본부는 “‘대의파악’과 ‘세부정보’(세부사항)를 묻는 문항의 경우 EBS 지문과 주제, 소재, 요지가 유사한 다른 지문 등을 활용해 출제했다”고 설명했다.
‘읽기’는 배경지식과 글의 단서를 활용해 의미를 이해하는 상호작용적 독해 능력을 측정하고, ‘쓰기’는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문장으로 요약하거나 문단을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밝혔다. 또 ‘듣기’는 원어민의 대화·담화를 듣고 이해하는 능력을 직접 측정하고, ‘말하기’에서는 불완전한 대화나 담화를 듣고 이를 완성하는 능력을 측정했다. 문항 유형은 수험생의 인지적 과정에 따라 배열했다. 즉 지문의 대의를 파악하는 유형을 먼저 제시하고 문법 어휘 유형, 세부사항 파악 유형, 빈칸 추론 유형, 쓰기 유형, 복합 문항 순으로 출제됐다.
세종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5-11-13 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