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어새야 괜찮니… ‘제주의 허파’ 습지가 사라지고 있다
제주도의 철새도래지인 습지가 개발이라는 미명 아래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의 습지는 단순히 철새가 쉬어가는 공간만이 아니라 다양한 생물군이 살아가는 공간으로 인간을 더 이롭게 살 수 있게 하는 곳이기도 하다. 홍수를 조절해 주는 기능과 연안 침식을 예방하는 역할(연안 습지)은 물론, 탄소흡수원 역할과 정수기능(내륙습지)까지 한다. 특히 99% 지하수에 의존하는 제주지역의 지하수를 걸러주고 정화시켜주는 곳이라는 점에서 보전해야 할 가치가 있는 ‘제주의 허파’다. 또한 생물종의 보고(寶庫)이자 ‘자연의 방파제’ 역할까지 하는 곳이다.
#제주도내 내륙습지 322곳, 연안습지 21곳… 연안습지 속한 해안사구, 마라도 면적의 37배 감소
제주습지보호지역은 환경부가 람사르습지로 지정한 물영아리오름습지, 물장오리오름습지, 1100고지습지, 제주동백동산습지, 숨은물벵듸등 5곳과 최근 해양수산부가 지정한 오조리 습지 등 총 6개지역으로 3068㎢에 달한다.
제주도 조사에 따르면 도내 습지는 내륙습지가 322곳, 연안습지가 21곳이 있다. 주로 구좌읍과 한경면, 서귀포 성산읍과 대정읍 지역에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슬기 제주환경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