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정부 2003년 ‘근현대사’ 과목으로 커졌다가 이명박 정부 때 줄어
중·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편향성 논란의 핵심은 근현대사 부분 서술 문제다.새누리당이 현행 검정 교과서들이 반(反)대한민국 사관, 북한 찬양의 서술로 편향됐다고 주장하고 교육부도 거드는 상황에서 향후 국정교과서에서 근현대사 서술의 수정은 불가피해 보인다.
그동안 한국사 교과서에서 근현대사 비중은 정권에 따라 변화를 겪었다.
현재 한국사 교과서에서 근대는 보통 1860년대 흥선대원군이 집권한 이후를 가리키고 현대는 1945년 광복부터다.
과거 고교 국정 교과서인 ‘국사’ 과목만 있었던 시기에 전근대사와 근현대사의 비중은 7대 3 정도였다.
방대광 고려대 사대부고 교사가 작년 8월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열린 ‘역사교과서 발행체제 개선안 세미나’에서 발표한 자료에는 근현대사 비중의 변화가 담겨 있다.
1997년 교육부가 발행한 고등학교 ‘국사’(상·하권) 교과서 503쪽 가운데 근현대사 부분은 165쪽(32.8%)이다.
근현대사 중에서도 근대사는 120쪽이다. 현대사는 45쪽으로 근대사의 절반에 불과했다.
근현대사 비중이 많이 늘어나 학교 현장에 적용된 시기는 노무현 정부 때다.
2003년 고교 선택과목으로 ‘한국 근현대사’가 신설됐다.
당시 검정 교과서로 6종이 발행됐고 보통 350쪽이 넘었기 때문에 1636년 병자호란 등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 분단 과정 등에 대해서 훨씬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했다.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고 근현대사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에 따른 것이다.
국정으로 발행되는 ‘국사’ 과목의 435쪽 중에도 근현대사 부분은 56페이지(13.6%)가 포함됐다.
고교 1학년은 국사 과목을 배우고 2, 3학년은 문과 학생을 중심으로 근현대사 과목을 배웠다.
고등학생이 3년 동안 배우는 한국사 교과에서 전근대사와 근현대사 비중은 비슷했던 셈이다.
그러다 이명박 정부에서 전반적으로 국사 교과서의 학습 분량이 줄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1년부터 보급된 ‘한국사’ 교과서는 기존 국사와 근현대사 과목을 합쳐서 완전히 검정체제로 발행됐다.
예를 들어 미래엔 교과서는 전체 415쪽이고 근현대사 서술은 290페이지로 전체의 69.9%나 된다.
근현대사 비율은 노무현 정부 때보다 높아졌지만, 분량은 줄었음을 알 수 있다.
박근혜 정부 들어 근현대사 비중은 더 줄었다.
또 ‘2011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작년부터 고교 신입생이 배우는 한국사 교과서에서 전근대사와 근현대사 비중은 1대 1로 바뀌었다.
현행 금성출판사 교과서의 경우 전체 447쪽 가운데 49.0%인 219페이지가 근현대사 시기를 다뤘다.
박근혜 정부가 ‘올바른 역사교과서’로 명명한 국정 교과서에서 근현대사는 더 줄어들 전망이다.
교육부가 한국사 교과서의 성취기준에서 고대사 부분을 강화하면서 전근대사와 근현대사의 비중을 현행 5대 5에서 6대 4 정도로 축소했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일본, 중국 등 주변국의 역사 왜곡 움직임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고대사를 늘리고 학생들의 근현대사 학습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근현대사를 줄이려는 것은 사회적 논란을 최소화하려는 의도가 크다.
김정배 국사편찬위원장도 지난 12일 브리핑에서 “이념적인 문제가 지나치다면 교과서에 쓸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근현대사 교육을 강화하는 흐름과 맞지 않는다는 비판도 나온다.
이성권 한국교육정책교사연대 대표는 “한국사 교과서가 고대 역사로 민족적 자긍심을 고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현재 사람들에게 의미가 큰 근현대사를 주로 다루는 것이 좋다”며 “근현대사를 축소하면 독립운동사가 줄고 박정희 전 대통령의 행적도 자세히 쓰이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