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운·동물 떼죽음, 전조현상 아니다”

“지진운·동물 떼죽음, 전조현상 아니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7-11-16 22:44
수정 2017-11-16 23: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과학계 “근거 없고 사후해석일 뿐”…‘느린 단층’ 분석 등 기술개발 총력

“○월 ○일 오전 ○시 ○분, ○○에서 규모 5.7의 지진이 예상되니 대비해 주시기 바랍니다.”
지난 15일 포항지진이 발생하기 이틀 전인 13일 한 트위트 사용자가 지진운이라고 올려놓아 화제가 된 사진. 트위터 캡쳐
지난 15일 포항지진이 발생하기 이틀 전인 13일 한 트위트 사용자가 지진운이라고 올려놓아 화제가 된 사진.
트위터 캡쳐
일기예보처럼 지진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다면 인명이나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에서는 동물의 이상행동, 구름 형태, 지하수 수위의 변화 등으로 지진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15일 오후 경북 포항에서 규모 5.4의 강진이 발생하면서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이틀 전인 13일 일정한 간격의 띠 모양의 양떼구름이 ‘지진운’이었던 것 같다는 글과 사진이 올라오면서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경북 경주 지진이 발생했을 때도 SNS를 중심으로 지진 발생 2달 전에 부산과 울산 일대에서 원인 불명의 가스냄새와 개미떼의 이동, 물고기의 떼죽음, 온천수 분출 등 지진 전조 현상이 있었다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그렇지만 과학계는 지진을 예측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고 이런 현상들은 지진과 관련이 없으며 ‘사후 해석’ 현상에 불과하다는 입장이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전조 현상으로 재해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필수조건이 있다”며 “해당 현상이 재해와 관련해서 반복적이고 일관성 있게 관측돼야 하고 전조 현상 관측 후 해당 재해가 반드시 발생해야 하고 전조 현상이 특정 재해만 예측해야지 여러 재해를 설명하는 경우는 신뢰도가 떨어진다”고 말했다.

과학자들은 전조 현상이 아니라 실제 지진을 예측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손을 놓고 있지 않다. 미국 캘리포니아 산타크루즈대(UC산타크루즈) 지구과학과 연구진은 2014년 4월 1일 칠레에서 발생한 규모 8.2의 대지진을 분석해 강진의 전조 현상이라고 할 수 있는 단서들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사이언스’에 발표한 바 있다. 연구팀은 대지진이 발생하기 직전 해저의 판들이 만나는 단층의 섭입대 근처에서 몇 ㎞ 간격으로 소규모 지진이 잇따라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지난해에는 일본 도호쿠대 재해과학국제연구소 연구진이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을 분석한 결과 대지진이 발생한 지역 인근 지각판이 천천히 움직이는 ‘느린 단층’ 현상이 나타났다는 것을 발견하고 지진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느린 단층은 1년에 6~7㎝ 정도씩만 움직이기 때문에 GPS센서 같은 위치확인 기기로 알아낼 수 있다. 느린 단층은 지진을 유발시키는 응력이라는 지각 에너지를 쌓고 있다가 한꺼번에 분출되면서 대지진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17-11-17 4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