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경의 경이로운 미술] 기록을 공유하는 사람

[이미경의 경이로운 미술] 기록을 공유하는 사람

입력 2024-11-19 02:56
수정 2024-11-19 02: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요즘 작가들은 아카이브 전시 방식을 선호한다. 아카이브 전시는 작가의 스케치, 메모, 일기, 작품 제작 일지 등을 보여 주는 방식이다. 그 일을 직업으로 삼는 사람이 있다. 아키비스트다. 아카이브는 문서의 기록, 수집, 보관, 분류, 연구하는 곳을 말하며 아키비스트란 그 일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미술 관련 아카이빙을 해 온 곳은 김달진 미술자료박물관(이하 ‘미술자료박물관’)과 서울 시립 미술아카이브(이하 ‘미술아카이브’)가 대표적이다. 지난해 4월 초 미술아카이브가 ‘기록과 예술이 함께하는 미술관’으로 평창동에 개관했다. 이곳은 한국 현대 미술가들과 관련된 기록물을 수집, 분류, 연구하며 전시도 연다.

미술아카이브가 개관하기 전 국내에는 미술자료박물관이 아카이브 기능을 먼저 수행하고 있었다. 미술자료박물관의 김달진 관장은 30여년간 한국 현대미술 자료를 수집하고, 분류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일에 앞장섰다. 김 관장은 전시회 팸플릿이나 일간지 모퉁이에 실린 작은 미술 기사마저 열심히 모았다. 덕분에 미술자료박물관에는 8000여권에 달하는 작가 화집, 1만 4000여점의 팸플릿, 1996년 이후 일간지 미술 기사를 볼 수 있다. 미술자료박물관은 기록물을 모으는 일뿐 아니라 2002년부터 서울아트가이드를 창간해 스스로 기록물을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쏟아지는 자료들의 분류뿐 아니라 보관할 공간이 부족하다는 데 있다. 그래서 김 관장은 상명대 입구에 자리한 미술자료박물관뿐 아니라 충북 옥천의 형님 집과 길 건너 작은 사무실을 임대해 자료들을 보관하고 있다. 그러나 자료를 위한 공간은 여전히 부족하다.

가을 어느 날 미술자료박물관을 찾았다. 박물관 사무실은 사람보다 자료 중심 공간이라 자료와 집기들을 피해 걸어야 할 정도로 비좁았다. 1990년대 김 관장은 늘 어깨가 무너질 만큼 무거운 가방을 메고 인사동 화랑을 돌며 팸플릿과 전시 도록을 모으러 다녔다. 이제 김 관장은 자료를 수집하는 일에서 자료를 공유하는 방향으로 선회했다고 한다.

그에게 이 많은 자료들이 데이터화됐는지 물었다. 그러자 깊은 한숨과 함께 빨라진 목소리로 그 문제가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했다. 그 작업은 일일이 자료를 분류하고 스캔하고 검색해야 하는 시간과 노동이 집약된 일이다. 공간과 재원과 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아카이브와 아키비스트는 영미권에서 나온 말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들보다 먼저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기록의 힘을 보여 준 민족이다. 우리 조상들은 전쟁이나 화재로 기록물이 유실될 것이 두려워 원본뿐 아니라 사본을 두고 관리했다. 이뿐만 아니라 정부는 1995년 조선왕조실록을 우리말로 번역해 전산화 작업을 마무리했다. 자료를 데이터화해 보존하는 일은 미래를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이다. 김 관장이 가슴에 새긴 ‘오늘의 정확한 기록이 내일이면 정확한 역사로 남는다’는 말을 허투루 들어선 안 된다.

이미경 미술사학자

이미지 확대
이미경 미술사학자
이미경 미술사학자
2024-11-19 34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