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수 명지병원 신경정신과 의사
학습부진아 가운데 정말 상태가 심각한 학생은 병원 치료를 받아 볼 필요가 있다. 서울시교육청 학습부진대책위원회 위원이자 대안학교인 성장학교 별의 교장인 김현수 명지병원 신경정신과 의사는 학습부진아의 3분의1 정도가 치료 대상이라고 말했다. 그는 “학습 격차가 더 벌어지기 전에 국가가 이들을 관리해 주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김현수 명지병원 신경정신과 의사
-공부하려는 의지가 부족하거나 학습의 기술이 떨어지는 학생은 노력을 통해 학습부진아에서 탈출할 수 있다. 하지만 정신과 치료가 필요한 학생들도 있다. 학습부진아의 30% 정도로 보고 있다. 전국의 학습부진아가 24만명 정도이니 이런 학생이 전국에 7만명쯤 될 것이다.
→이런 학생들은 어떤 특징이 있나.
-환경, 정서, 동기를 따져볼 때 도저히 공부를 할 수 없는 학생들이다. 최근 문제가 되는 아동학대나 방임 등으로 상처 입은 학생들도 이런 그룹에 속한다. 의욕이 아예 없어서 뭘 시켜도 안 된다. 기억력이나 인지능력도 현저히 떨어진다. 조절 능력이나 인내심도 부족하다.
→언제쯤 치료하는 게 효과가 좋을까.
-빠를수록 좋다. 기초 학습능력이 손상되면 회복이 어려워진다.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또래 학생들과의 격차가 커지기 때문이다. 장기적으로 이런 학생은 중도탈락할 확률이 높다.
→어떤 치료를 해야 할까.
-이런 학생들에겐 공부보다 돌봄이 우선이다. 여기서 말하는 돌봄은 병원 치료, 가정환경 개선, 복지지원 등을 포괄한다. 지금은 교육청에서, 재단 등에서 돈을 지원해 병원 치료를 받는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국가 차원에서 이들에 대한 지원책이 필요하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6-01-26 2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