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수능 점수 발표] “서울대·연대 경영 531~538점·주요 의대 522점 이상 합격권”

[2016 수능 점수 발표] “서울대·연대 경영 531~538점·주요 의대 522점 이상 합격권”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5-12-01 23:16
수정 2015-12-02 00: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시 지원 가능 점수·지원 전략

그동안 ‘물수능’(쉬운 수능)에서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됐던 건 상위권 수험생에 대한 변별력이 약하다는 것이었다. 이번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이 문제를 상당 부분 해소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입시업체들은 서울대 사회과학계열과 경영대 등 인문계(문과) 최상위권 학과는 표준점수 530점대 중반, 자연계(이과) 주요 의대는 520점대 중반을 합격 가능 점수로 추정했다. 또 서울 소재 대학의 합격선은 문과 495점, 이과 480점 정도로 예측했다.

이미지 확대
강상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위원장이 1일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브리핑실에서 2016학년도 수능 채점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세종 연합뉴스
강상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위원장이 1일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브리핑실에서 2016학년도 수능 채점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세종 연합뉴스
입시업체들은 정시모집에서 3차례의 복수 지원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되 ‘안정’ ‘적정’ ‘도전’의 3대 콘셉트로 포트폴리오를 짜야 합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1일 조언했다.

정시모집은 대학과 학과별로 수능 반영 방법이 달라 수능 총점이 같더라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환산 점수가 달라지고 합격 가능한 대학도 달라진다. 따라서 성적표를 받은 뒤 자신의 성적이 영역별로 어느 정도 위치인가를 파악하고, 영역별로 유리하거나 불리한 조합을 찾아 자신에게 유리한 영역을 많이 반영하고 가중치를 주는 대학을 선택해야 한다.

상위권 대학들은 대부분 4개 영역을 반영하는데 영역별 반영 비율이 다르고 특정 영역에 가중치를 주는 경우가 있다. 또 반영 점수 지표 중에서 표준점수가 유리한지, 백분위가 유리한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서울대를 비롯한 주요 대학들은 탐구와 제2외국어, 한문 영역은 성적표상의 표준점수 대신 백분위에 대한 자체 변환표준점수를 반영하는 만큼 이후 공개되는 대학의 변환표준점수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이미지 확대
올해 수능은 지난해와 달리 변별력이 확보되면서 상위권 수험생들이 지원 전략을 짜기가 지난해보다는 수월할 것으로 보인다. 문과 상위권 대학은 국어와 수학, 영어 영역은 표준점수를 활용해 선발하고 반영 비율도 비슷해 영역별 반영 비율을 잘 따져봐야 한다. 이과는 고려대와 연세대, 한양대 등에서 과학탐구 영역을 30% 반영하는 등 탐구 영역 반영 비율이 상당히 높은 편이다. 따라서 탐구 영역의 과목별 백분위 성적이 합격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어 대학별로 영역별 반영 비율을 잘 살펴야 한다. 김희동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상위권 학생의 경우 문·이과 모두 국어, 수학, 영어가 변별력 있게 출제됐기 때문에 해당 계열과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의 영역별 반영 비율에 따라 유불리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위권 점수대는 가·나·다 모든 군의 복수 지원이 가능해 경쟁이 가장 치열하다. 특히 사회탐구가 쉽게 출제돼 탐구 점수를 대학 자체 점수로 변환하지 않는 대학의 경우 지난해보다 수험생이 몰릴 가능성이 높다. 문과는 국어와 영어, 이과는 수학과 영어 영역에 높은 비중을 두는 곳이 많다. 또 문과는 국어 B형, 이과는 수학 B형이나 과학탐구를 선택할 때 대부분 5~15%의 가산점을 준다.

하위권 점수대는 2개 대학은 본인의 적성을 고려해 합격 위주로 선택하고 나머지 한 곳은 소신 지원하는 전략이 좋다. 중위권 수험생들이 안정 위주로 하향 지원을 하면 인기 학과를 중심으로 합격선이 올라갈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남윤곤 메가스터디 입시전략연구소장은 “변별력 있는 수능으로 문·이과 모두 정시 지원 전략을 수립하기가 지난해보다 수월해졌다”며 “하지만 올해 정시는 지난해보다 모집 인원이 1만 1407명 감소했기 때문에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5-12-02 9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