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 영어시험 어떻게 바뀌었나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절대평가가 도입된 영어는 수학과 함께 그동안 사교육비 부담의 원흉으로 지목됐다. 이에 따라 영어는 1994학년도 수능 도입 이후 논란과 변화의 중심에 섰다. 첫 수능에서 8문항이었던 듣기평가는 1996학년도 10문항, 1997학년도 17문항까지 늘어났다.영어에 대한 본격적인 논란은 2008년 시작됐다. 당시 이명박 정부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이른바 ‘아륀지’ 논란 속에 “한국형 토플을 개발해 수능 영어를 대체하겠다”고 밝혔고 393억원을 들여 국가영어능력시험(NEAT) 고교용 2, 3급과 성인용 1급을 개발했다.
교육부는 2010년 2013학년도 대입 수시 전형부터 수능 영어를 NEAT로 대체하겠다는 구체적인 계획을 밝혔다. 또 2011학년도 수능에서는 EBS교재 연계율 70%가 실시되면서 영어 역시 EBS 교재에 나온 지문 및 문항과 유사한 문제가 출제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교육부는 2012년 수능 영어를 NEAT로 대체하는 것을 연기했고 급기야 지난해에는 대체하지 않겠다고 확정 발표했다. 이 여파로 올해 NEAT의 고교생 대상 2, 3급 시험이 없어졌고 일반인 대상인 1급 시험의 응시자도 크게 줄어 결국 내년에는 NEAT 자체가 폐지된다.
그러는 사이 2014학년도 수능에서 영어는 국어, 수학과 함께 A, B형의 수준별 시험으로 치러졌다. 하지만 사교육을 조장한다는 논란 끝에 2015학년도에 영어만 다시 통합돼 치러졌다. 내년부터 시행되는 개정 고교 교과과정의 적용을 받는 현재 중학교 3학년이 수능을 치르게 될 2018학년도에는 절대평가로 확정됐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4-12-26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