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도흠 지순협 대안대학 이사장
“파리8대학을 완전한 모델로 삼은 것은 아닙니다. 한국과 프랑스의 토양이 다르기 때문이죠. 한국적 상황에 맞춰 기존의 제도교육과 대척점을 가지면서 자유롭게 사유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만든다는 차원에서 비슷한 점은 있을 것입니다.”9일 서울 성동구 한양대 연구실에서 만난 이도흠 국문과 교수가 “경쟁사회를 협력사회로, 경쟁교육을 협력교육으로 바꾸기 위한 노력이며 단순한 지식의 전달, 공유만이 아닌 생활 학문 공동체의 기능도 담당할 것”이라고 대안대학의 의미 및 활동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9일 한양대 연구실에서 이 교수를 만났다. 최근 몇 년 사이 한국 사회에 불어닥친 인문학 열풍으로도 모자랐을까. 세상이 인정하는 학위도 주지 않는 2년 과정의 대안대학은 과연 어떤 의미였을까.
이 교수는 “기존의 단기 인문강좌는 교양과 상식을 쌓는다는 점에서 유용하지만 개개인을 자유의 주체, 공감의 주체로 만든다는 점에서는 한계가 있다”면서 “지속적인 교육과 여러 부문에 걸친 융합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공감의 주체이자 협력교육, 협력사회의 주체로 거듭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라고 강조했다.
한때 최고의 미덕으로 여겨졌던 경쟁의 가치에 대한 회의는 점점 깊어져 간다. 하지만 마땅한 대안이 없이 여전히 효용성을 인정받고 있다. 다양성의 삶은 다른 사람에게 적용될지언정 자신의 삶 앞에서는 사회적 성취와 물질적 욕망의 뒷전으로 밀려난다. 학벌과 인맥은 능력 사회의 구호를 비웃는다. 공부는 끊임없이 반복되는 입시, 취업, 승진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했다.
지순협 대안대학이 방점을 찍는 부분은 바로 공감 능력의 확대다.
이 교수는 “20세기는 이성의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폭력적인 전쟁은 더욱 늘어났고 아우슈비츠, 르완다 등까지 인간의 폭력은 더욱 극대화되고 있다”면서 “이는 기계적인 이성이 아니라 감성에 의해 자신과 상대방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공감 능력이 절실히 요구됨을 뜻한다”고 말했다. 억압에 저항하는 소극적 자유부터 시작해 노동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실현하고 자연의 변화를 이끄는 적극적 자유, 타인과 사회를 고통에서 구제할 수 있는 대자적 자유까지 나아갈 수 있는 핵심 동력이 바로 공감 능력에서 나온다는 설명이다.
그는 “이러한 공감 능력을 바탕으로 타자와 협력하고 사회를 건전하게 하는 교육과정을 담고 있다”면서 “단순히 성선설, 성악설 등의 틀로 인간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이기적인 본능과 사회적인 협력이 공존하는 존재임을 확인하는 과정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식순환협동조합은 월 1만원 이상씩 내는 생산자조합원, 소비자조합원, 후원조합원으로 이뤄져 있다.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과 능력을 공유하고자 한다면 학생들도 언제든 생산자조합원으로 바뀔 수 있다. ‘교학상장’(敎學相長)을 실천하는 상호부조 교육공동체를 지향한다.
“인간은 모두가 한 가지 재능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평등합니다. 그것을 드러내게 하고 공감 능력을 증장하게 하는 것이 하나의 목표이지요. 대안대학에서는 선생도 학생이 될 수 있고, 학생도 선생이 될 수 있습니다. 지식의 생산과 유통, 수용이 서로 경계를 짓지 않는 곳이지요. 대안대학의 공부는 번듯한 학위를 요구하는 사회로 나아가는 데 걸림돌이 될 수도 있고 새로운 가치의 삶을 실천하는 데 디딤돌이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또 하나의 교육 실험이 시작됐다. 변화와 혁신을 기약하는 것은 숱한 실험과 시행착오였음을 역사는 일찍이 가르쳐줬다. 한국 사회 첫 대안대학의 첫 강의는 2015년 1월 12일에 시작된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4-12-10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