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도입되는 국가역량체계
현재 한국사회에서는 ‘어느 대학을 나왔느냐’는 질문이 그 사람의 역량을 가늠하는 중요한 판단기준이 된다. 이는 입사 당시뿐 아니라, 직장생활 내내 따라다닌다. 그렇다면 ‘학벌’을 타파한 능력중심사회에서는 무엇으로 한 사람의 능력을 알 수 있을까. 정부는 이를 국가역량체계(NQF)라는 틀에서 풀어내겠다는 계획이다.2017년부터 도입되는 NQF는 학위, 자격증, 훈련경험, 현장경력 등 능력과 관련된 모든 스펙을 국가가 인증하는 하나의 커다란 자격 체계로 통합하는 시스템이다. 쉽게 말하면 ‘점수제’다. 예를 들어 국가가 인정하는 고등교육을 받으면 몇 점, 현장경력도 몇 시간 이상 수료하면 몇 점 등 경력이나 교육이 쌓일 때마다 각각의 배점이 주어진다. 이런 점수를 더해서 일정 수준이 되면 NQF 자격을 인정해주고, 점수가 올라갈수록 NQF 등급이 높아진다. ‘어느 곳에서 공부했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떤 능력을 쌓았느냐’가 중요시되고, 이를 가늠하기 위해서 수치적으로 보여주는 개념인 것이다.
NQF가 도입되면 각 기업은 ‘NQF 몇급 이상’ 등의 방식으로 채용조건을 명확하게 제시할 수 있다. 구직자 입장에서도 기업을 찾기 쉬워지고 기업이 원하는 인재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도 알 수 있다. 승진이나 배치 등에서도 NQF를 기준으로 삼으면 학력 등 다른 요소가 개입할 여지가 줄어든다는 것이 교육부 측의 설명이다.
현재 NQF를 도입한 국가는 전 세계적으로 155개국에 이른다. 특히 유럽의 경우에는 국가 간 이동이 자유로워지면서 NQF가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다른 나라의 대학이나 경력을 입증하기는 쉽지 않지만, 표준화된 NQF자격증으로 능력을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럽훈련재단(ETF)에 따르면 급여와 승진평가 등에서 NQF 7은 석사 수준, NQF 8은 박사 수준으로 대우받는다. 한국 정부 역시 NQF가 자리 잡으면, NQF를 활용하는 다른 국가와의 인력 교류 등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건형 기자 kitsch@seoul.co.kr
2014-11-04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