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당파들, “한국당 해체” “망나니 친박” 외치다 도로 한국당행

탈당파들, “한국당 해체” “망나니 친박” 외치다 도로 한국당행

입력 2017-05-02 17:50
수정 2017-05-02 17: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탈당파 일부, 바른정당 주요당직 맡아 ‘주공격수’로 활동

“한국당은 스스로 소멸해야 한다”

2일 탈당과 함께 자유한국당행을 택한 바른정당 소속의 한 의원이 한 달여 전에 자유한국당의 해체를 주장하며 쏟아낸 말이다.

바른정당 소속 의원 13명이 이날 탈당 후 한국당행을 선언한 가운데 탈당 전 한국당에 대해 맹공에 나섰던 일부 의원들의 과거 발언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바른정당의 주요당직을 맡아 한국당에 대한 ‘주 공격수’로 나섰다가 대선을 불과 1주일 앞두고 스스로 한국당으로 걸어 들어가는 길을 택했기 때문이다.

지난 3월 22일 당 회의에서 당시 김성태 사무총장은 “진정한 보수정당이라면 대통령 탄핵에 책임지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면서 당시 한국당 인명진 비대위원장에게 사퇴를 촉구하는 한편 “한국당은 해체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같은 달 9일 비상 의원총회에서 “박근혜(대통령), 최순실과 함께했던 한국당은 역사와 국민 앞에 사죄하고 스스로 소멸해야 한다”면서 “바른정당은 과거 청산과 적폐청산, 패권청산의 길에 앞장설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김 의원은 같은 달 2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친박에 대해 “망나니 친박”이라면서 “스스로 해체하고 소멸해도 모자랄 판에 고개 빳빳이 들고 큰소리칠 계제가 아니라는 점을 ‘친박 패거리’는 인식해 주기 바란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전략홍보본부장을 지낸 황영철 의원도 같은 회의에서 당시 인명진 비대위원장을 향해 “도로친박당, 최순실 옹호당으로 안정시킨 것을 축하드린다”고 비꼬는 한편, “친박 인적청산이나 구태청산 의지는 없고 오로지 독설만 내뱉은 위선적 야누스가 되지 않았나 돌아봐야 한다”면서 친박 청산 주장을 쏟아냈었다.

이들은 한국당내 탄핵찬성 세력을 향해 탈당과 함께 바른정당 합류를 주장하기도 했었다.

같은 달 16일 당 회의에서 김성태 의원은 “남편이 바람피웠으면 당당하게 이혼하는 게 답”이라면서 한국당 탄핵찬성 인사들을 향해 바른정당으로 넘어올 것을 주장했다. 당시 “남편이 바람피웠다고 본처가 이혼해주면 남편만 좋은 것 아니냐”는 한국당 나경원 의원의 언급에 대한 반박성 발언이었다.

당 대선후보 경선관리위 부위원장을 지낸 김재경 의원은 같은 달 14일 “한국당 내에는 여전히 좌지우지하는 친박과 어정쩡한 비박이 남아 있다는 것을 분명 느낄 수 있다”며 “한국당 내 양심세력들은 헌재 판결로 용기 내서 떳떳하게 당을 나와 하루빨리 빨리 소신 있는 정치를 함께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들이 인적청산을 주장하던 친박계 인사들은 한국당 내에서 건재하고, 이들은 향후 정식 입당절차를 거쳐 한국당에 복당하면 친박계와 같은 당 깃발 아래 ‘동거’를 하게 된다.

장제원 의원은 불과 사흘 전인 지난달 30일 유승민 후보의 부산 유세 지원에 나서 “이번에 완패, 참패를 주시면 어느 누구도 이제 다시는 기득권 수구세력과 싸우겠다는 이들이 없어진다. 저희가 생존할 수 있는 지지율을 호소한다”면서 지지를 호소하기도 했다.

그는 ‘최순실 국정농단’ 국회 국정조사 당시, 국조특위 위원을 맡아 국정농단 실체 규명을 위해 맹활약하기도 했었다.

장 의원은 이날 탈당 회견 후 기자들과 만나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은 아직도 옳았다고 생각한다. (한국당 전신인 새누리당을 탈당할 때) 탄핵이냐 아니냐 때문에 나온 것이 아니고, 패권정치 부분에 대해 견디지 못하고 나왔다”며 “패권정치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한국당에) 들어갔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 지점에서 타협이 있었다는 것을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이들은 이날 탈당 선언문에서 “보수 단일화를 통한 정권 창출을 위해 바른정당을 떠난다”, “보수의 대통합을 요구하는 국민적 여망을 외면할 수 없었다”고 밝혔지만, 명분이 약하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이들의 탈당에도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와 한국당 홍준표 후보 간의 단일화는 요원하고, 보수는 여전히 분열돼 있기 때문이다.

연합뉴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