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계의 뒷마당 미술 산책
  • [조명계의 뒷마당 미술 산책] 인상파 탄생 150주년

    [조명계의 뒷마당 미술 산책] 인상파 탄생 150주년

    인상주의 회화는 지금부터 150년 전 프랑스에서 발현됐다. 올해가 150주년 기념의 해다. 파리 오르세미술관을 비롯해 프랑스 곳곳에서 기념 공연과 축제가 열리고 있다. 인상파는 당시로서는 혁명이었다. 실내에 갇혀 아카데미 도제수업에 전념하던 화가들이 들로 산으로 문자 그대로 빛을 쫓아다녔다. 클로드 모네의 ‘해돋이’를 감상한다는 것은 해가 뜨는 순간에 내가 서 있는 것이다. 해가 뜨는 르아브르 부두의 보라색 안개 속에서 크레인과 배들이 붉은 원반 모양의 태양 빛에 희미하게 형상화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1874년 베르트 모리조, 에드가르 드가, 오귀스트 르누아르, 카미유 피사로 등의 작품과 함께 그룹전에서 해돋이 작품이 공개됐을 때 그러나 비평가 루이 르로이의 비평은 혹독했다. “작품이 꽤나 인상적이군요”라며 비웃었다. 작품 내용이 정확히 표현되지 않고 흩어졌기 때문이다. 그랬던 인상주의 작품들은 한 세기 반 만에 전 세계 미술애호가들을 사로잡았다. 인상주의 화가들이 추구했던 것은 아카데미의 예술적 규칙이 아니라 화가로서 만끽하는 자유로운 감각이었다. 인상파 화가들의 작품 속에서는 파리라는 도시가 여성과 남성이 억압되지 않은 방식으로 표현됐고 르누아르의 ‘
  • [조명계의 뒷마당 미술 산책] 예술기관의 ‘지속가능성’

    [조명계의 뒷마당 미술 산책] 예술기관의 ‘지속가능성’

    얼마 전 외신에 세계 예술기관의 지속가능성 영향력 순위가 포함된 보고서가 발표됐다. 시드니 오페라하우스가 독보적 1위를 차지했고 스코틀랜드의 국립미술관, 영국 콜체스터의 머큐리극장, 암스테르담의 국립미술관 등이 뒤를 이었다. 스위스 로잔대가 예술기관의 지속가능성을 조사한 새로운 연구에서는 영국의 미술관들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 사용 및 폐기물 등의 기준을 통해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살펴봤고 다양성과 포용, 접근성, 학습 및 영감 등의 범주를 통해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조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관들은 대부분 지속가능성 증진에 소홀했으며 사전에 약속한 것이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구호에만 그쳤다는 뜻이다. 영국의 예술기관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순위를 차지한 이유는 예술위원회가 자금을 지원하는 모든 기관에 의무적으로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했기 때문이다. 이는 남의 일이 아니다. 오직 자금 지원만 바라는 국내의 예술기관들이 과연 어느 정도 지속가능성 증진을 위해 노력하는지 궁금하다. 또 다른 문제는 규모가 큰 기관이 작은 기관보다 더 큰 지속가능성 문제를 안고 있다는 사실이다. 쉽게 말해 거대한 기관은
  • [조명계의 뒷마당 미술 산책] 뭉크의 ‘절규’

    [조명계의 뒷마당 미술 산책] 뭉크의 ‘절규’

    뭉크의 ‘절규’가 곧 서울에 온다. 1892~1893년은 뭉크가 작품 구성 주제를 대중에 전달하고자 노력했던 중요한 해다. 이 모티브는 실제 경험에서 비롯된 것으로 1892년 1월 22일자 뭉크의 일기에는 ‘절규’에 대한 영감이 나온다. “나는 두 명의 친구와 함께 길을 걷고 있었다. 나는 한 줄기 우울한 기분을 느꼈다. 갑자기 하늘이 피투성이가 됐다. 나는 걸음을 멈추고 난간에 기댔는데, 피곤해서 죽을 지경이었다. 파란색의 검은 피오르와 도시 위로 불타는 하늘이 피처럼 드리워져 있고, 친구들은 계속하여 불안감에 떨면서 서 있었다. 나는 자연을 통해 무한한 비명을 느꼈다.” 그동안 많은 비평가가 다양한 해석을 시도했지만 사실 팩트는 다음과 같다. (1)자연적으로 거칠어진 하늘의 색에 대해 혹자들은 인도네시아 크라카토아 폭발로 인한 화산 먼지 때문일 거라고 주장하기도 했지만 폭발은 1883년에 일어났으므로 이는 억지다. (2)작품 속 인물은 실제로 비명을 지르지 않고 있다. 이 작품의 원래 이름은 ‘자연의 비명’(The Scream of Nature)을 의미했다. ‘절규’의 석판화에는 색칠된 작품과 달리 “자연 속에서 큰 비명을 느꼈다”고 쓰여진 뭉크의 비문이
  • [조명계의 뒷마당 미술 산책] 미술품 조각투자

    [조명계의 뒷마당 미술 산책] 미술품 조각투자

    규제 일변도 정책을 구사하는 증권 당국이 조각투자라는 신상품에 대해 적합 판정을 내렸고 조각투자 회사들이 특정 미술품 한 점을 놓고 청약을 받는 시대가 됐다. 얼마 전 청약에 완판은 되지 않았으나 그런대로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결국 미술작품을 구입해 놓은 측은 자연스럽게 소유 작품을 팔았다. 이제 남은 것은 가치가 상승해 본인의 추가수익은 물론 조각투자자들이 수익을 나누어 거두면 된다. 그런데 과연 그렇게 될까. 조각투자가 처음 나올 때 이야기다. 사업설명을 하는데 수익률이 50%에서 200%까지 떨어진 작품은 하나도 없었다. 수익률이란 구입하고 팔아서 이익을 남겼다는 의미인데 이 부분이 명쾌하지가 않았다. 왼손이 사고 오른손이 팔았다는 우려를 지울 수가 없었다. 내가 사서 내가 나한테 수익률을 보이고 팔았다면 손실 부분은 법인이 떠안았다는 상황을 짐작할 수 있었다. 이제는 조각투자가 제도권으로 들어왔고 공모청약까지 하는 시대가 됐다. 조각투자의 유일한 점검사항은 수익률 하나뿐이다. 필자가 조각투자를 시기상조로 보는 가장 큰 이유는 시장의 규모다. 조각투자 시장의 규모가 아니라 미술시장의 규모가 너무 작기 때문이다. 조각투자 회사가 할 일의 기본 요건은 첫
  • [조명계의 뒷마당 미술 산책] 의혹의 미술품이 몰려온다/전 소더비 아시아 부사장

    [조명계의 뒷마당 미술 산책] 의혹의 미술품이 몰려온다/전 소더비 아시아 부사장

    의혹의 미술품도 물이 흐르는 방식과 똑같다.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흘러간다. 1986년부터 1990년 초 일본의 버블경제 시기에 수많은 의혹의 미술품이 일본 시장으로 밀려 들어갔다. 그리고 40년이 흐른 오늘에는 이들 의혹의 미술품이 다시 한국으로 밀려오고 있다. 얼마 전 일본에 있는 수백 점의 올드마스터 작품이 새 주인을 찾기 위해 한국에서 문을 두드리고 있는 것을 목도했다. 일본에서 온 루벤스 작품을 보면서 생각했다. 올드마스터 작품 고객이 한국보다 일본에 훨씬 더 많을 텐데 굳이 한국에서 팔고자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뻔한 부분을 놓치고 있다. 지난해 11월 필자에게는 지인으로부터 바스키아 작품 16점, 앤디 워홀 작품 8점, 피카소 작품 8점이 한꺼번에 주어졌다. 국내 한 컬렉터가 바스키아 작품 16점을 소장하고 있다는 사실은 신문 1면에 나올 만한 대사건으로 가치의 합계가 적어도 5000억원을 웃돌 것이다. 이미지와 첨부된 사진 자료 보증서 등을 살펴본 다음 검토도 하지 말라는 의견을 주었다. 당혹스러운 것도 있었다. 크리스마스 다음날인 지난해 26일 또 다른 바스키아 작품 한 점이 주어졌는데, 매의 눈으로 살펴본즉 바스키아 재단 발행 진본 증명
  • [조명계의 뒷마당 미술 산책] 대체불가토큰 아트/전 소더비 아시아 부사장

    [조명계의 뒷마당 미술 산책] 대체불가토큰 아트/전 소더비 아시아 부사장

    대체불가토큰(NFT) 아트 논란이 잠잠해진 듯하다. NFT는 거래 내역이나 소유권이 블록체인에 담겨 위조가 불가능한 디지털 자산이고 대부분 가상화폐를 기반으로 거래된다. 돈이 된다는 환상에 빠져 너도나도 이 작품 저 작품을 NFT로 만들어 일확천금을 꿈꾸는 현상으로 논란이 시작됐다. 또 실제 거래가 됨으로써 이를 부추겼다. 미술품 NFT에 뛰어든 한 코스닥 회사가 상장폐지 위기에 이르기까지 했다. 미술품과 NFT의 깊은 지식 없이 의료기기 회사가 NFT 아트에 뛰어든 것도 문제였다. 구입한 작품 120억원어치를 확인도 해 보지 않은 듯했다. 회사는 작품을 NFT로 만든 뒤 1000개로 쪼개 조각 판매를 시도한 것으로 사달이 났던 것이다. 1년 전 외국의 한 수집가가 NFT 발행을 목적으로 소장하던 140억원짜리 프리다 칼로 작품을 소각 행사에 초대된 200여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불태워 버렸다. 이 작품의 디지털 버전을 1만개의 NFT로 만들어 한정 판매하려고 했다. 이를 보는 독자들은 어떤 평가를 하는가. 바로 그 판단이 NFT 아트에 대한 정답이다. 팩트 하나. 미술관이 발행하는 NFT는 장려돼야 한다. 다만 이들 미술관은 공공미술관이지 사립미술관은 아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