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육청 첫 고교 노동인권 지도자료
서울교육청이 13일 공개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연계 노동인권 지도자료’ 책자 중 일부 내용. 현장실습에 나서는 특성화고 학생들을 위해 산업재해 유형을 제시했다.
서울교육청 제공
서울교육청 제공
김상곤 전 교육부 장관이 2013년 경기교육감 재임 시절 개발한 인정교과서 ‘더불어 사는 민주시민’에 노동 부문의 사례가 있지만, 이를 채택한 학교가 많지 않아 보급에 한계가 있었다. 서울교육청의 이번 지도자료는 교육과정 내에서 교사들이 자유롭게 자료를 활용해 노동교육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 가능성이 크다. 서울교육청 관계자는 “학교의 선택을 받아야 하는 인정교과서보다 기존 교과목에서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지도자료의 활용도가 더 높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노동자에 대한 부정적 선입견 깨는데 초점
서울교육청은 지난해 1월 ‘노동인권교육 활성화 조례’를 제정하면서 지도자료 개발에 착수했다. 지난해 7월부터 최윤정 이화여대 교수, 이예지 한가람고 교사 등 전문가 7명이 집필해 완성했다. 하종강 성공회대 교수는 “학교를 졸업하면 대부분이 월급을 받고 일하는 노동자가 됨에도 우리 사회에서 노동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부정적 측면이 더 강하다”면서 “이는 학교에서 노동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이뤄지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토론 통해 노조·파업 필요성 등 고민
자료는 노동자에 대한 부정적인 선입견을 깨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예를 들어 그림책 ‘탁탁 톡톡 음매 젖소가 편지를 쓴대요’를 활용한 토론 등을 통해 노조와 파업이 왜 필요한지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하는 식이다. 미국의 변호사 도린 크로닌이 쓴 이 책은 소들이 농장 주인에게 편지를 써 자신들의 권리를 찾는 내용으로 미국 도서관협회 상을 받았다. 대형마트 비정규직 해고 노동자들의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 ‘송곳’을 활용해 노조의 의미를 찾도록 하는 내용도 있다. 다만, 일선 수업에서 이번 자료의 활용 여부는 교사의 선택에 달렸다는 점에서 한계는 있다. 하 교수는 “프랑스는 90년 전에 노동교육을 정규 교육에 넣었고, 미국이나 일본도 노동교육이 모두 교육과정에 포함됐다”면서 “우리나라도 노동교육이 정규 교육과정에서 의무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박호철 서울교총 대변인은 “노동교육의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편향적 교육’으로 혼란이 있을 수도 있다”면서 “서울교육청에서 민원 대처 방안이나 실질적인 수업시수 확보 계획 등을 함께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9-02-14 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