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근 기자의 평범한 교육] 고3이라서 어쩔 수 없다지만 명절에도 학원 가는 슬픈 사회

[유대근 기자의 평범한 교육] 고3이라서 어쩔 수 없다지만 명절에도 학원 가는 슬픈 사회

유대근 기자
입력 2017-09-21 17:42
수정 2017-09-21 17: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황금연휴에 대입 특강만 호황’, ‘학원가에 추석 연휴는 남의 일’….

기시감이 드는 뉴스다. 매년 추석 연휴 때면 나오는 ‘제철 기사’이기 때문이다. 서울 대치동, 목동 등 학원가는 아이들의 작은 여유조차 허용하지 않는다. ‘논술 파이널’, ‘확률 특강’, ‘사회탐구 집중 강좌’ 따위의 이름을 내걸고 모객에 나선다.

●고3 하루 평균 11시간 공부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코앞에 둔 고3만이 표적이 아니다. 학원들은 중학생부터 고등학교 저학년까지 수준별 특강을 내놓는 친절함을 보인다. “애들도 명절에는 좀 쉬자”는 목소리가 없지 않지만 무시당하기 일쑤다. 학원 입장에서야 장사가 되는데 안 할 이유가 없고, 부모나 학생은 “이번 연휴가 뒤처진 과목을 따라잡을 마지막 기회”라는 광고 문구 앞에 하릴없이 지갑을 연다.

통계청이 2010년 내놓은 ‘사회조사 등을 통해 바라본 우리나라 고3의 특징’ 자료를 보면 국내 고3은 하루 평균 11시간 3분을 공부했다. 주말은 온전히 쉬었다고 가정해도 1주일에 55시간 15분을 책상머리에 앉아 있는 셈이다. 평균 수면 시간은 5.4시간이었다.

7년이 지났지만 현실은 별반 달라진 게 없다. 아이들의 학습 행위를 일종의 노동으로 본다면 참 아찔한 통계다. 현행 근로기준법상 주당 근로시간은 연장근로를 포함해 52시간이다. 한국 사회의 평균적인 고3들은 ‘과로’하고 있다.

지난 5월 출범한 새 정부는 ‘휴식 있는 삶을 위한 일·생활의 균형 실현’을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잡았다. 성인 근로자의 노동시간을 줄여 휴식권을 보장하겠다는 취지다. 국내 취업자 1명당 연간 평균 근로시간은 2069시간(2016년 기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멕시코 다음으로 긴데 이를 2022년까지 1800시간대로 끌어내리겠다는 목표도 확고하다.

하지만 학생 휴식권을 지켜 주기 위한 움직임은 감지되지 않는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초등학생에 한해 일요일 학원 휴일휴무제 도입을 찬성한다”고 밝혔지만 국정과제에서는 빠졌다.

●학생들 ‘쉴 권리’ 보장은 언제쯤…

학생 쉴 권리 보장을 위해 제도를 뜯어고치는 게 어려운 일이라면 당장 이번 추석에는 학원이라도 좀 가지 않고 마음 편히 너부러져 쉴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고3이야 빼더라도 나머지 아이들은 명절이라도 쉬면 좀 어떨까 싶다. 명절에 오지 않는 고등학생 손자를 할아버지가 더이상 찾지 않는 우리의 자화상은 얼마나 슬픈가.

dynamic@seoul.co.kr
2017-09-22 23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