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소개서(자소서) 제출 시기를 두고 지난 3월 말부터 서울시교육청과 서울 지역 20개 자사고가 이어왔던 줄다리기가 끝났습니다. 학생들이 추첨에서 떨어질 것을 감수하고도 무조건 내야 했던 자소서를 학생이 원한다면 추첨이 끝난 다음에 낼 수 있게 됐습니다. 시교육청은 지난 10일 “자사고 지원 학생의 추첨 전 자소서 제출 의무를 없애기로 서울자사고교장연합회와 최종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시교육청은 올 3월 추첨에서 당첨된 지원자만 자소서를 내도록 한 ‘2017년도 서울특별시 고등학교 입학전형 기본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자사고가 지원자 모두에게 학교생활기록부와 자소서를 받고 추첨과 면접을 순차적으로 거쳐 최종선발하던 방식을 수정하도록 한 내용입니다. 시교육청은 이 고입 전형 기본계획에서 지원자를 대상으로 우선 추첨을 해 1.5배수를 거른 뒤에 학생부와 자소서를 내도록 하는, 선발 단계를 바꾸도록 제안했습니다.
서울자사고교장연합회는 즉각 성명을 내고 지금처럼 추첨 전에 모든 지원자들의 자소서를 받겠다고 맞섰습니다. 자소서를 쓰면서 수험생들이 지원한 학교의 건학이념을 이해하고, 자신의 진로를 더욱 깊이 있게 탐색할 수 있기 때문에 자소서는 모든 지원자가 거쳐야 하는 필수 절차라는 주장을 펼쳤습니다.
추첨에서 떨어질지도 모르는 학생들에게서 왜 굳이 자소서를 받아야 하는지, 왜 자사고들이 시교육청에 맹렬히 반대하는지는 여전히 의문이었습니다.
그 답은 일반고에서 들을 수 있었습니다. 자사고가 입시가 끝난 뒤에도 자소서와 학교생활기록부 등을 폐기하지 않고 있다가 학교 결원이 발생하면 이를 이용한다는 겁니다. 자신의 학교를 지원했던 일반고 우수 학생들에게 접근해 자사고로 데려가는 것이죠. 이런 일이 버젓이 자행되면서 일반고에서 자사고를 찾아가 항의하는 일도 벌어졌습니다.
이런 배경을 감춘 채 갈등이 5개월 동안 이어졌습니다. 자사고 입시가 시작되기 3개월 전인 8월까지 마무리가 안 되면 올해 자사고 입시가 파행이 예고되는 상황이었습니다. 결국 자사고가 10일 오전 ‘학생들의 자율에 맡기자’는 절충안을 냈습니다. 시교육청이 합의하면서 “자사고를 지원하는 모든 학생이 자소서를 제출해야 했던 부담에서 벗어나게 됐다”고 자화자찬했습니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요. 합의 내용을 돌이켜보면 이 합의가 왜 ‘빈 깡통’인지 알 수 있습니다. ‘자소서 제출은 학생 자율’이라니 아이들이 자소서를 내지 않을까요? 자소서를 제출하지 않아서 혹시나 불이익이 생기지 않을까 걱정하며 울며 겨자 먹기로 자소서를 낼 수밖에 없을 겁니다. 자신의 미래가 달린 일이니 뭐라도 해야 하는, 애처로운 처지이니까요. 자사고가 암암리에 지원자들에게 자소서를 제출하도록 할 수도 있습니다.
자사고는 아이들의 자소서를 폐기할까요? 학교가 자소서를 품는 한 ‘아이들 빼가기’는 이어질 겁니다. 학생들이 냈던 자소서를 폐기했는지에 대해 시교육청이 이를 확인할 길이 없기 때문입니다.
시교육청은 이 두 가지 질문에 대해 확답을 하지 못합니다. 대신 “우려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장학지도를 철저히 하겠다. 일단 시행해 보고 문제가 발생하면 고쳐 나가겠다”고 합니다. 철저한 지도감독을 약속했으니 지켜볼 일이긴 합니다만, 그럼 지금까지 6개월 동안 시교육청은 무엇을 했는지, 그리고 이 합의가 정말로 학생들을 위해 최선의 선택이었는지 묻고 싶습니다.
gjkim@seoul.co.kr
앞서 시교육청은 올 3월 추첨에서 당첨된 지원자만 자소서를 내도록 한 ‘2017년도 서울특별시 고등학교 입학전형 기본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자사고가 지원자 모두에게 학교생활기록부와 자소서를 받고 추첨과 면접을 순차적으로 거쳐 최종선발하던 방식을 수정하도록 한 내용입니다. 시교육청은 이 고입 전형 기본계획에서 지원자를 대상으로 우선 추첨을 해 1.5배수를 거른 뒤에 학생부와 자소서를 내도록 하는, 선발 단계를 바꾸도록 제안했습니다.
서울자사고교장연합회는 즉각 성명을 내고 지금처럼 추첨 전에 모든 지원자들의 자소서를 받겠다고 맞섰습니다. 자소서를 쓰면서 수험생들이 지원한 학교의 건학이념을 이해하고, 자신의 진로를 더욱 깊이 있게 탐색할 수 있기 때문에 자소서는 모든 지원자가 거쳐야 하는 필수 절차라는 주장을 펼쳤습니다.
추첨에서 떨어질지도 모르는 학생들에게서 왜 굳이 자소서를 받아야 하는지, 왜 자사고들이 시교육청에 맹렬히 반대하는지는 여전히 의문이었습니다.
그 답은 일반고에서 들을 수 있었습니다. 자사고가 입시가 끝난 뒤에도 자소서와 학교생활기록부 등을 폐기하지 않고 있다가 학교 결원이 발생하면 이를 이용한다는 겁니다. 자신의 학교를 지원했던 일반고 우수 학생들에게 접근해 자사고로 데려가는 것이죠. 이런 일이 버젓이 자행되면서 일반고에서 자사고를 찾아가 항의하는 일도 벌어졌습니다.
이런 배경을 감춘 채 갈등이 5개월 동안 이어졌습니다. 자사고 입시가 시작되기 3개월 전인 8월까지 마무리가 안 되면 올해 자사고 입시가 파행이 예고되는 상황이었습니다. 결국 자사고가 10일 오전 ‘학생들의 자율에 맡기자’는 절충안을 냈습니다. 시교육청이 합의하면서 “자사고를 지원하는 모든 학생이 자소서를 제출해야 했던 부담에서 벗어나게 됐다”고 자화자찬했습니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요. 합의 내용을 돌이켜보면 이 합의가 왜 ‘빈 깡통’인지 알 수 있습니다. ‘자소서 제출은 학생 자율’이라니 아이들이 자소서를 내지 않을까요? 자소서를 제출하지 않아서 혹시나 불이익이 생기지 않을까 걱정하며 울며 겨자 먹기로 자소서를 낼 수밖에 없을 겁니다. 자신의 미래가 달린 일이니 뭐라도 해야 하는, 애처로운 처지이니까요. 자사고가 암암리에 지원자들에게 자소서를 제출하도록 할 수도 있습니다.
자사고는 아이들의 자소서를 폐기할까요? 학교가 자소서를 품는 한 ‘아이들 빼가기’는 이어질 겁니다. 학생들이 냈던 자소서를 폐기했는지에 대해 시교육청이 이를 확인할 길이 없기 때문입니다.
시교육청은 이 두 가지 질문에 대해 확답을 하지 못합니다. 대신 “우려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장학지도를 철저히 하겠다. 일단 시행해 보고 문제가 발생하면 고쳐 나가겠다”고 합니다. 철저한 지도감독을 약속했으니 지켜볼 일이긴 합니다만, 그럼 지금까지 6개월 동안 시교육청은 무엇을 했는지, 그리고 이 합의가 정말로 학생들을 위해 최선의 선택이었는지 묻고 싶습니다.
gjkim@seoul.co.kr
2016-08-12 2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