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염재호 총장의 ‘3無 정책’ 시행 1년 성적표는

고려대 염재호 총장의 ‘3無 정책’ 시행 1년 성적표는

강신 기자
강신 기자
입력 2016-07-20 22:44
수정 2016-07-21 01: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절대평가 A+, 자율출석 C+, 양심시험 B+

“절대평가로 바뀌면서 경쟁에만 모든 것을 거는 상황은 조금이나마 나아지는 것 같아요. 교수님에 따라 상대평가 때보다 오히려 성적 ‘A’가 덜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요. 어쨌든 옆자리의 누군가를 이겨야 한다는 압박은 줄어든 거죠.”- 고려대 윤모(25)씨

“제가 들은 수업들은 모두 출석도 부르고 시험 감독도 있었어요. 사실 출석을 안 불러도 시험을 잘 보려면 수업에 빠질 수 없지만요. 교수님들이 보수적이어서 자율출석과 무감독 시험을 도입할 정도로 학생을 믿지는 않을 것 같아요.”- 고려대 김모(22·여)씨

절대평가·자율출석·무감독 시험 등을 도입하겠다는 고려대 염재호 총장의 ‘3무(無) 정책’이 시행 1년을 맞았다. 상대평가는 많이 사라졌지만 자율출석과 무감독 시험을 도입한 경우는 아직 전체 수업의 5% 이하라는 점에서 ‘절반의 성공’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20일 고려대에 따르면 지난해 2학기 전체 수업의 64.1%가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전환됐지만 올해는 67.1%의 수업에서 절대평가를 도입했다. 과목 수로 보면 2347개(총 3660개)에서 2466개(총 3646개)로 119개가 늘었다. 학교 측은 내년부터 학사운영 규정을 ‘성적평가는 절대평가로 한다’는 내용으로 개정할 예정이다. 3무 정책은 교수 각자의 재량에 따라 도입된다.

그러나 자율출석은 지난해 2학기 6.6%(242개)에서 올해 5.0%(184개)로 외려 줄었다. 무감독 시험도 3.5%(128개)에서 2.7%(97개)로 감소했다. 초기부터 큰 호응을 이끌어 내지 못한 데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축소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경제학과에 재학 중인 이모(25)씨는 “사실 50명짜리 전공 수업의 경우 출석 확인에만 10분이 걸리기 때문에 출석 체크를 안 하는 것은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며 “하지만 이를 악용하는 경우도 꽤 있기 때문에 교수님들이 도입하지 못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김모(23·여)씨는 “인문대의 경우 지식을 바탕으로 논리를 쓰는 경우가 많아 무감독 시험이 적절하지만 공대의 경우는 정답을 베낄 수 있어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고 전했다.

반면 학교 측은 장기적으로 3무 정책이 자리를 잡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학교 관계자는 “미국 육군사관학교 웨스트포인트와 프린스턴대 등에서는 부정행위를 하지 않겠다는 명예서약을 하고 시험을 치른다”며 “이런 방식으로 학생들은 자율성과 학문 수준을 높인다”고 말했다. 염 총장도 “상대평가는 학생들이 성적을 받기 유리한 과목만 찾아 듣게 하고 대학생은 초·중·고교생이 아니니 출석을 부를 필요가 없다”며 “커닝을 해서도 풀 수 없는 좋은 시험 문제를 내야 한다”면서 3무 정책을 도입했다.

박만섭 교무처장은 “절대평가 참여도는 높고 무감독 시험·자율출석은 낮은데 사실 3가지 정책은 패키지로 시행돼야 무조건 줄을 세우는 문화를 바꾸는 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며 “점차 교수들에게 취지를 설명하고 유도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2016-07-21 9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