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사례 본 학생부 전형 대비법
최근 입시에서 가장 주목받는 전형을 꼽으라면 ‘학생부’ 위주 전형을 들 수 있다. 학생부 교과 성적을 주로 보는 ‘학생부 교과전형’ 선발 인원은 올해 전체 모집인원의 39.7%로 가장 많다. 학생부를 중심으로 비교과 영역을 주로 따지는 ‘학생부 종합전형’은 지난해 전체 선발인원의 18.5%였지만, 올해는 20.3%, 내년에는 23.6%로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하지만 학생부 위주 전형은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과 달리 정성적 평가 요소가 많은데다가, 대학들이 정확한 합격·불합격 정보를 공개하지 않아 이른바 ‘깜깜이’ 의혹도 받는다. 이 때문에 실제 합격사례를 통해 자신의 장단점을 비교해보는 일은 학생부 위주 전형을 대비하는 대입 전략의 기본이기도 하다. 서울시교육청이 최근 발간한 ‘진학지도자료집’에 공개된 학생들의 실제 사례를 통해 학생부 위주 전형 대비법을 4일 알아봤다.서울대, 건국대, 성균관대 등 일부 대학을 제외한 서울의 거의 모든 대학과 지방 국립대 대부분이 학생부 교과전형을 시행한다. 교과 성적을 위주로 학생을 선발하기 때문에 합격선이 대개 높은 편이다. 이 때문에 철저한 내신 관리가 필수다. 교과 성적은 대학에 따라 반영 교과목과 반영 비율이 제각각이다. 교과뿐만 아니라 출결, 봉사와 같은 비교과 영역 일부를 반영하는 대학도 있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는 대학도 있는데, 대학마다 기준이 달라 유의해야 한다.
A군은 교과 성적이 좋지 못하고, 눈에 띄는 특별한 비교과 활동도 없었다. 교과 평균등급은 4.15등급이었다. 수능 등급 역시 비슷한 성적대의 학생들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학생부 교과전형 합격선은 서울 주요 대학은 교과성적 평균 2등급대 초반 정도로 알려졌다. 서울과 수도권 소재 중위권 대학이나 지방대학의 합격선은 3~5등급 내외다.
이런 상황에서 수능 최저기준을 만족할 수 있다면 합격의 문은 더 넓어진다. 교과와 비교과에서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없는 A군은 수능으로 대학을 노리기로 했다. 수능 과목 가운데 최저기준을 만족할 수 있는 국어와 탐구 영역을 집중적으로 공부했다. 지난해 수능 결과 국어 3등급, 수학 5등급, 영어 5등급, 탐구영역 4등급을 맞았다. A군은 지난해 한성대와 한림대, 경기대, 가천대, 인하대, 서울과기대에 원서를 냈다. 적성시험과 논술전형을 봤던 대학은 모두 떨어졌지만, 학생부 교과 전형을 치른 한성대와 한림대는 합격했다. 특히 두 대학 모두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만족한 것은 물론이다.
●전공 적합성 부족하면 관련 활동 연계를
학생부 종합전형은 학생부 교과 성적은 물론 비교과 활동에서 나타난 학업능력과 전공적합성, 인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최근 가장 증가세가 가파른 전형으로, 내년에 이뤄질 2018학년도 수시모집에서는 사실상 ‘대세’가 될 전망이다. 수시모집 전부를 학생부 종합전형으로 선발하는 서울대를 포함해 고려대가 학생부 종합전형으로 전체 모집인원의 61%를 모집한다. 서강대도 50% 이상 학생부 종합전형으로 선발한다.
학생부 종합전형은 평가범위가 학교 내 활동인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학교생활에서 나타나는 학생의 성장 결과보다는 성장과정에 관심을 더 두는 점이 중요하다. 무엇보다 비교과 영역을 교과와 얼마나 잘 묶어내느냐가 관건이다. 교과와 비교과를 따로 준비하기보다 학교 내 생활에 충실하면서 교과를 준비하고, 여기에 따른 성장 과정을 비교과에 자연스럽게 연결하면 효과적이다.
그래서 고교에서는 ‘스펙’이란 단어보다 ‘스토리’라는 단어를 더 선호한다. B군은 지원하려는 대학 전공과 연관성이 높은 학교 활동을 잘 정리해 합격한 사례다. 학생부 교과 기록에는 자연계열 학생의 기본적인 학업능력지표인 수학과 과학 교과가 우수하다고 기록됐다. 학생부 교과 세부능력기록에서는 건축에 대한 지속적이고 구체적인 활동 기록이 적혀 있다. 발표수업에서 ‘농촌 빈집 실태, 문제점’(국어), ‘가우디의 삶과 가치관’(영어), ‘쓰레기, 재활용품 설치작품 소개’(미술) 등으로 건축 관련 활동을 했음을 강조했다. 비교과 활동에서도 폐교벽화작업과 같은 농촌봉사활동과, 건축답사부의 동아리 활동 등으로 건축에 대한 관심이 많은 학생임을 보였다. 이 학생은 국민대 건축학부에 입학했다.
지원하려는 학과가 바뀌었을 때에는 연계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명확히 알고 자신의 역량을 몰입하는 모습이 대학에서 원하는 우수한 학생의 모습이지만, 그렇지 않은 사례가 다반사다. 이 때문에 일관성을 잃고 여러 활동을 잡다하게 했다가 학생부 종합전형에 실패하곤 한다. C양은 중간에 진로를 바꾸고도 그간의 활동을 잘 연계해 성공한 사례다. C양은 영어를 비롯한 교과 성적과 관련 활동을 많이 했다.
하지만 목표하는 대학의 영문학과를 지원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성적. 여기에 2학년 때에는 경제에 관심이 생겨 경제동아리로 옮겨 활동하기도 했다. 얼핏 보면 전공에 대한 일관성이 없다고 판단할 수도 있는 상황이었지만, C양은 부족하다고 생각한 영어 능력과 경제 활동을 종합했다. 결국 지난해 이 두 가지 능력이 다 필요한 중앙대 국제 물류학과에 지원해 합격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6-07-05 2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