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얀 유령들만 사는 마을에 빨간 유령이 살고 있었어. 하얀 유령들은 빨간 유령이 피 색깔과 비슷하다고 굉장히 싫어했어. 다가오면 기분 나쁘다고 쫓아버렸지. 그래서 빨간 유령은 매일 산속에서 ‘흑흑흑’ 슬프게 울었어.”
첫째 아이가 먼저 잠든 밤. 잠이 안 온다며 뒤척이던 둘째가 뜬금없이 “유령 이야기를 해 달라”고 졸라 즉석에서 만든 ‘빨간 유령 이야기’입니다. 바로 꾸며 낸 이야기라 구성이 허술하지만 둘째는 재미있는 모양입니다. “빨간 유령이 불쌍하다”며 안타까워하는 둘째는 “그래서 빨간 유령은 어떻게 됐어?” 하고 묻습니다.
“하얀 유령 친구 하나가 찾아와 ‘빨간 유령아, 울지 마’ 했지. 그러면서 빨간 유령에게 자기 하얀 살을 떼어줬어.”
“우와, 살을 떼어줬어? 그래서?”
“응. 그랬더니 빨간 유령은 분홍 유령이 됐어. 분홍 유령이 마을에 내려갔더니 하얀 유령들이 분홍 유령을 좋아하게 됐어. 그래서 친구도 많아졌지.”
둘째가 좋아하는 분홍색에 착안해 만든 ‘고객 맞춤형’ 이야기에 둘째는 만족한 표정입니다. “흰색과 빨간색을 섞으면 분홍색이 된다”는 과학 상식도 함께 알려줬습니다. 둘째가 이야기를 또 해 달라기에 “그럼 마지막으로 하나만 해 줄 거야. 이거 듣고 자는 거야. 약속!”이라며 손가락을 걸었습니다. 이번엔 풍선 이야기를 그 자리에서 지어내 해 줬습니다. 둥둥 떠다닐 수 있는 풍선은 땅바닥에 있는 돌멩이를 무시했지만, 하늘까지 날아 올라가다 터질까 봐 무서워하는 풍선을 위해 돌멩이가 풍선에 매달려 줘 무사히 내려올 수 있었다는 이야깁니다. 빨간 유령 이야기와 마찬가지로 그 자리에서 꾸며 낸 이야기라 많이 미흡합니다. 그래도 아이들은 아빠의 이야기를 좋아합니다. “아빠는 굉장한 이야기꾼”이라며 엄지를 몇 번 받기도 했습니다.
이야기를 만들기 어려울 땐 가끔 인터넷 라디오 방송 ‘토토의 이야기 나라’에서 파일을 내려받아 휴대전화로 들려주곤 합니다. 창작 동화를 들려주는 방송인데, 아이와 아빠가 성우로 직접 출연합니다. 어떤 사람들일까 궁금해 기사를 찾아보니, 여덟 살 박시형군의 가족이 직접 이야기를 만들고 성우까지 겸한다고 합니다. 시형군이 아이디어를 내면 아빠인 박희선씨가 이야기를 만들고 프리랜서 아나운서인 엄마 김오령씨가 해설을 읽어 줍니다. 전문 성우들이 아닌 까닭에 약간은 어설프지만, 그것이 또 그런 대로 매력적입니다. 2014년 11월부터 시작해 편당 10분 내외 라디오 방송은 현재 63화까지 나왔습니다.
이야기는 상상력을 키우는 데도 좋지만 아이들과 친해지는 데도 그만입니다. 두 아이가 다니는 어린이집에 일주일에 한 번씩 찾아오는 ‘이야기 할머니’도 이야기의 힘을 보여 주는 좋은 사례입니다. 이야기 할머니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아름다운 이야기 할머니 사업’의 여성분들을 가리킵니다. 지난 1월 전국 만 56∼70세 여성 350명을 모집할 때 2068명이 지원해 평균 5.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서울은 12명 모집에 546명이 지원해 무려 45.5대1의 경쟁률을 보여 화제가 됐습니다. 지난 8년 동안 2406명의 이야기 할머니가 전국 6629개 유아교육 기관을 방문해 42만명의 아이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줬습니다.
많은 부모는 아이가 크면서 대화 시간이 줄어든다고 걱정합니다.
초등학교까지 살갑던 아이들이 중학교에 올라가면 데면데면해진다고 합니다. 일곱 살, 다섯 살인 제 아이들도 조금만 크면 그리 될지 모릅니다. 하지만 그전까지는 최선을 다해 볼 요량입니다. 그래서 저는 오늘도 어설픈 이야기를 만듭니다.
gjkim@seoul.co.kr
첫째 아이가 먼저 잠든 밤. 잠이 안 온다며 뒤척이던 둘째가 뜬금없이 “유령 이야기를 해 달라”고 졸라 즉석에서 만든 ‘빨간 유령 이야기’입니다. 바로 꾸며 낸 이야기라 구성이 허술하지만 둘째는 재미있는 모양입니다. “빨간 유령이 불쌍하다”며 안타까워하는 둘째는 “그래서 빨간 유령은 어떻게 됐어?” 하고 묻습니다.
“하얀 유령 친구 하나가 찾아와 ‘빨간 유령아, 울지 마’ 했지. 그러면서 빨간 유령에게 자기 하얀 살을 떼어줬어.”
“우와, 살을 떼어줬어? 그래서?”
“응. 그랬더니 빨간 유령은 분홍 유령이 됐어. 분홍 유령이 마을에 내려갔더니 하얀 유령들이 분홍 유령을 좋아하게 됐어. 그래서 친구도 많아졌지.”
둘째가 좋아하는 분홍색에 착안해 만든 ‘고객 맞춤형’ 이야기에 둘째는 만족한 표정입니다. “흰색과 빨간색을 섞으면 분홍색이 된다”는 과학 상식도 함께 알려줬습니다. 둘째가 이야기를 또 해 달라기에 “그럼 마지막으로 하나만 해 줄 거야. 이거 듣고 자는 거야. 약속!”이라며 손가락을 걸었습니다. 이번엔 풍선 이야기를 그 자리에서 지어내 해 줬습니다. 둥둥 떠다닐 수 있는 풍선은 땅바닥에 있는 돌멩이를 무시했지만, 하늘까지 날아 올라가다 터질까 봐 무서워하는 풍선을 위해 돌멩이가 풍선에 매달려 줘 무사히 내려올 수 있었다는 이야깁니다. 빨간 유령 이야기와 마찬가지로 그 자리에서 꾸며 낸 이야기라 많이 미흡합니다. 그래도 아이들은 아빠의 이야기를 좋아합니다. “아빠는 굉장한 이야기꾼”이라며 엄지를 몇 번 받기도 했습니다.
이야기를 만들기 어려울 땐 가끔 인터넷 라디오 방송 ‘토토의 이야기 나라’에서 파일을 내려받아 휴대전화로 들려주곤 합니다. 창작 동화를 들려주는 방송인데, 아이와 아빠가 성우로 직접 출연합니다. 어떤 사람들일까 궁금해 기사를 찾아보니, 여덟 살 박시형군의 가족이 직접 이야기를 만들고 성우까지 겸한다고 합니다. 시형군이 아이디어를 내면 아빠인 박희선씨가 이야기를 만들고 프리랜서 아나운서인 엄마 김오령씨가 해설을 읽어 줍니다. 전문 성우들이 아닌 까닭에 약간은 어설프지만, 그것이 또 그런 대로 매력적입니다. 2014년 11월부터 시작해 편당 10분 내외 라디오 방송은 현재 63화까지 나왔습니다.
이야기는 상상력을 키우는 데도 좋지만 아이들과 친해지는 데도 그만입니다. 두 아이가 다니는 어린이집에 일주일에 한 번씩 찾아오는 ‘이야기 할머니’도 이야기의 힘을 보여 주는 좋은 사례입니다. 이야기 할머니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아름다운 이야기 할머니 사업’의 여성분들을 가리킵니다. 지난 1월 전국 만 56∼70세 여성 350명을 모집할 때 2068명이 지원해 평균 5.9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서울은 12명 모집에 546명이 지원해 무려 45.5대1의 경쟁률을 보여 화제가 됐습니다. 지난 8년 동안 2406명의 이야기 할머니가 전국 6629개 유아교육 기관을 방문해 42만명의 아이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줬습니다.
많은 부모는 아이가 크면서 대화 시간이 줄어든다고 걱정합니다.
초등학교까지 살갑던 아이들이 중학교에 올라가면 데면데면해진다고 합니다. 일곱 살, 다섯 살인 제 아이들도 조금만 크면 그리 될지 모릅니다. 하지만 그전까지는 최선을 다해 볼 요량입니다. 그래서 저는 오늘도 어설픈 이야기를 만듭니다.
gjkim@seoul.co.kr
2016-05-10 2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