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 살 큰아이는 요즘 자전거 타는 재미에 푹 빠져 있습니다. 토요일 아침이면 침대에 널브러져 있는 제게 “아빠. 나 자전거 타러 갈 거야”라고 합니다. 밖에 같이 나가 자전거 타는 것을 도와달라는 이야깁니다. 대충 옷을 주워입고 아이와 자전거를 들고 나섭니다.
큰아이가 자전거를 타기 시작한 것은 1년쯤 전입니다. 처음엔 누구나 그렇듯 뒷바퀴 양쪽에 작은 보조바퀴 두 개를 달고 자전거를 탔습니다. 그렇게 6개월쯤 자전거를 타자 다리에 힘이 붙은 듯 제법 익숙하게 아파트 단지를 달리곤 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과감하게 보조바퀴를 떼어냈습니다. 아이는 크게 당황했습니다. 보조바퀴를 달고 탈 때 씽씽 잘도 달리던 아이는 중심을 못 잡고 좌로 우로 마구 넘어졌습니다. 앞으로 나아가지도 못한 채 계속 넘어지는 아이를 보고 있자니 짜증이 났습니다. 그러다 결국 소리를 버럭 지르고 말았습니다.
“겁먹지 말고 자전거 핸들을 꽉 잡아! 그리고 발을 세게 구르란 말야! 그게 그렇게도 어렵니?”
저의 짜증에 화가 나고 민망하기도 했던지 큰아이는 그때부터 자전거를 한동안 타지 않았습니다. 지난 3개월 동안 자전거는 아파트 자전거 보관소에 묶여 있었습니다.
봄이 되고 날이 점점 따뜻해지자 아이는 다시 자전거를 타고 싶어했습니다. 저는 보조바퀴를 다시 달아줬습니다. ‘보조바퀴가 필요 없게 되면 알아서 말하겠지’ 하는 생각에 기다려 보기로 했습니다. 한 달쯤 보조바퀴를 달고 자전거를 타던 큰아이는 결국 용기를 냈습니다.
“아빠. 나 작은바퀴(보조바퀴) 없어도 이제 잘 탈 수 있을 것 같아.”
아이는 요즘 보조바퀴 없이 자전거를 타고 있습니다. 가끔은 휘청거리고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넘어지기도 합니다. 그래도 온 힘을 다하는 모습을 보니 뿌듯합니다.
많은 부모가 아이가 스스로 무언가를 해내기 전 지나치게 간섭을 하곤 합니다. 아이가 잘할 때까지 기다리지를 못하는 겁니다. 그러다 결국 사달이 나곤 합니다. 다른 어린이집으로 옮겼던 큰아이의 친구가 며칠 전 다시 돌아왔다는 이야기를 최근 아내한테서 들었습니다. 그 어린이집은 부모가 욕심을 부려 시쳇말로 ‘빡세게’ 지도하는 곳입니다. 유아용 학습지를 매일 풀게 하는 걸로 소문난 곳이지요. 매일 학습지를 푸는 일에 아이는 스트레스를 받았고, 결국 엉엉 울면서 “예전 어린이집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했습니다. 엄마는 결국 아이를 원래 다니던 어린이집으로 데려올 수밖에 없었습니다.
얼마 전 ‘똑똑한 엄마는 서두르지 않는다’는 책을 읽었습니다. 저자 제시카 레히는 아이를 믿고 기다리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아이에게 실패의 경험도 필요하다고 합니다. 적절한 시기에 실패를 겪으면 분노, 짜증, 좌절감 같은 감정을 극복하고 상처를 치유하는 회복력을 키울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부모는 자전거의 보조바퀴 같은 존재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보조바퀴를 너무 빨리 떼어내면 아이는 쉽게 넘어집니다. 그렇다고 너무 오래 바퀴를 붙여놓으면 아이는 두 발 자전거를 잘 타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보조바퀴는 도대체 언제 떼어내야 할까. 오늘도 많은 부모가 고민하지만, 정답은 없어 보입니다. 그저 아이를 지켜보고 믿고 응원해 주는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그럼 언젠가 아이는 말하지 않을까요. “이제 저 혼자서도 할 수 있어요.”
gjkim@seoul.co.kr
큰아이가 자전거를 타기 시작한 것은 1년쯤 전입니다. 처음엔 누구나 그렇듯 뒷바퀴 양쪽에 작은 보조바퀴 두 개를 달고 자전거를 탔습니다. 그렇게 6개월쯤 자전거를 타자 다리에 힘이 붙은 듯 제법 익숙하게 아파트 단지를 달리곤 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과감하게 보조바퀴를 떼어냈습니다. 아이는 크게 당황했습니다. 보조바퀴를 달고 탈 때 씽씽 잘도 달리던 아이는 중심을 못 잡고 좌로 우로 마구 넘어졌습니다. 앞으로 나아가지도 못한 채 계속 넘어지는 아이를 보고 있자니 짜증이 났습니다. 그러다 결국 소리를 버럭 지르고 말았습니다.
“겁먹지 말고 자전거 핸들을 꽉 잡아! 그리고 발을 세게 구르란 말야! 그게 그렇게도 어렵니?”
저의 짜증에 화가 나고 민망하기도 했던지 큰아이는 그때부터 자전거를 한동안 타지 않았습니다. 지난 3개월 동안 자전거는 아파트 자전거 보관소에 묶여 있었습니다.
봄이 되고 날이 점점 따뜻해지자 아이는 다시 자전거를 타고 싶어했습니다. 저는 보조바퀴를 다시 달아줬습니다. ‘보조바퀴가 필요 없게 되면 알아서 말하겠지’ 하는 생각에 기다려 보기로 했습니다. 한 달쯤 보조바퀴를 달고 자전거를 타던 큰아이는 결국 용기를 냈습니다.
“아빠. 나 작은바퀴(보조바퀴) 없어도 이제 잘 탈 수 있을 것 같아.”
아이는 요즘 보조바퀴 없이 자전거를 타고 있습니다. 가끔은 휘청거리고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넘어지기도 합니다. 그래도 온 힘을 다하는 모습을 보니 뿌듯합니다.
많은 부모가 아이가 스스로 무언가를 해내기 전 지나치게 간섭을 하곤 합니다. 아이가 잘할 때까지 기다리지를 못하는 겁니다. 그러다 결국 사달이 나곤 합니다. 다른 어린이집으로 옮겼던 큰아이의 친구가 며칠 전 다시 돌아왔다는 이야기를 최근 아내한테서 들었습니다. 그 어린이집은 부모가 욕심을 부려 시쳇말로 ‘빡세게’ 지도하는 곳입니다. 유아용 학습지를 매일 풀게 하는 걸로 소문난 곳이지요. 매일 학습지를 푸는 일에 아이는 스트레스를 받았고, 결국 엉엉 울면서 “예전 어린이집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했습니다. 엄마는 결국 아이를 원래 다니던 어린이집으로 데려올 수밖에 없었습니다.
얼마 전 ‘똑똑한 엄마는 서두르지 않는다’는 책을 읽었습니다. 저자 제시카 레히는 아이를 믿고 기다리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아이에게 실패의 경험도 필요하다고 합니다. 적절한 시기에 실패를 겪으면 분노, 짜증, 좌절감 같은 감정을 극복하고 상처를 치유하는 회복력을 키울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부모는 자전거의 보조바퀴 같은 존재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보조바퀴를 너무 빨리 떼어내면 아이는 쉽게 넘어집니다. 그렇다고 너무 오래 바퀴를 붙여놓으면 아이는 두 발 자전거를 잘 타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보조바퀴는 도대체 언제 떼어내야 할까. 오늘도 많은 부모가 고민하지만, 정답은 없어 보입니다. 그저 아이를 지켜보고 믿고 응원해 주는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그럼 언젠가 아이는 말하지 않을까요. “이제 저 혼자서도 할 수 있어요.”
gjkim@seoul.co.kr
2016-04-26 2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