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끝> 서울 명덕여고
서울 강서구 명덕여고의 모든 학생은 매년 초 A5 용지 크기에 270페이지로 구성된 ‘드림퓨처’ 수첩을 받는다. ‘자기주도학습 플래너’라는 설명이 붙은 이 수첩에 학생들은 매주, 그리고 매일 자신의 학습계획을 적고 공부한다. 담임교사들은 학생들의 수첩을 매일 일일이 확인하고 도장을 찍어준다. 계획을 세우고 꾸준히 지킨 우수 학생들을 선발해 상도 준다. 학생이 스스로 학습계획을 세우고 주도적으로 공부하는 일은 성적을 올릴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를 돕는 교사의 역할도 중요하다. 자기주도학습과 교사들의 지도에 대해 일선 학교가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실제론 많은 학교가 이를 잘 실행하지 못한다. 담임교사들의 업무 과중이 주된 이유 중 하나다. 서울시교육청이 지난해 12월 ‘학교교육 정상화 6대 과제’를 통해 담임교사들의 업무 경감을 우선으로 꼽은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민희영(가운데) 명덕여고 3학년 부장교사가 서울 강서구 교내 상담실에서 학생들과 대입 진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김명국 전문기자 daunso@seoul.co.kr
김명국 전문기자 daunso@seoul.co.kr
명덕여고의 담임교사는 철저하게 교과 수업과 학생들의 생활지도만 한다. 그 외 각종 행정 업무 부담에서는 모두 제외된다. 박종연 교감은 “담임을 오래 맡은 교사는 기안 올릴 줄도 모른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라며 “다른 학교에 비해 재단에서 교사들을 더 많이 채용해 담임교사의 어깨를 가볍게 해주고 있다”고 했다.
지속적인 상담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만족도도 높다. 교사 96명과 학생 904명, 학부모 109명을 대상으로 학교가 지난해 12월 조사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학교 만족도가 학생 91%, 학부모 97%에 이르렀다. 같은 조사에서 학교생활 만족도의 요인으로 ‘면학 분위기’라고 답한 비율이 70%로 가장 높았다.
3학년 변영인 양은 “목표 대학을 선택할 때는 물론, 가고 싶은 학과를 정하고 이와 관련한 여러 활동을 어떻게 관리하는지도 담임 선생님과 상의하고 있다”고 했다. 3학년 배주희 양도 “담임 선생님이 오답 노트를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지를 비롯해 공부하는 방법까지 알려줄 정도로 자세한 상담을 해준다”고 말했다. 2학년 김나연 양은 “지원할 때부터 주변에서 ‘명덕여고는 면학 분위기 좋고 상담 많이 하는 학교’라는 말을 많이 들어 선택했다”고 했다. 학교 차원의 꾸준한 관리 덕에 명덕여고는 2009년 4년제 대학 진학률에서 강서구 1위, 고등학교 선호도 조사에서 강서구 1위, 2011년 서울대 합격자 수에서 전체 여고 9위 등 화려한 타이틀을 자랑한다.
자율형사립고가 약진한 2014년 이후 잠깐 주춤하긴 했지만, 대입에서 여전히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2013년 졸업생 627명 가운데 456명이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에 진학했는데, 이 가운데 서울 4년제 대학 진학자가 150명에 이른다. 2014년에는 졸업생 대비 대학 진학률이 64.9%로 다소 떨어졌다가 2015년에는 71.2%로 다시 70%대의 진학률을 기록했다. 2016년에는 서울대 3명, 연세대 5명, 고려대 7명, 성균관대 12명 등이 진학했다.
우덕상 교장은 “담임교사들이 학생들의 지도에 집중하고, 학생들은 교사를 따라 자기주도적으로 공부하는 것. 이 두 가지가 바로 명덕여고의 힘”이라며 “지금까지 해온 일들을 앞으로도 이어간다면 일반고 위기와 관계없이 강서구의 대표 학교로 명성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 강조했다.
여기에 명덕여고는 2012년 학교가 자율적으로 창의, 인성, 진로 교육을 시행하는 ‘자율형 창의경영학교’로 선정되는 등 교육부 지원사업을 통해 각종 자율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다. 지난해부터는 ‘융합 영재학급 운영 학교’로 선정돼 영재학급을 운영하고 있다. 1학년 2개 반에 영재학급을 개설해 학기 중 토요일, 여름방학 중에는 전일제로 융합 집중 수업을 연간 100시간 한다. 수학과 과학 분야, 예술 분야, 인문학(문학, 역사, 철학)을 융합한 심화학습 형태 수업이 진행된다. 박성진 진학기획부장 교사는 “심화학습 형태의 탐구토론 중심으로 운영하는 영재학급이 1년 뒤에 대입에서 큰 실적을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6-04-26 2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