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영어 절대평가 혼란… “이럴 거면 정시 폐지”

수능 영어 절대평가 혼란… “이럴 거면 정시 폐지”

입력 2016-03-30 22:42
수정 2016-03-30 23: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대학들 ‘물수능’ 불만 봇물… 서울 5개大 입학처장 말말말

이른바 ‘물수능’의 변별력 문제에 대해 대학들이 대놓고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그 계기는 정부가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영어 과목 점수를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전환하기로 하면서다. 핵심은 “안 그래도 수능시험의 변별력이 떨어지는 판에 절대평가 전환으로 이를 더 약화시키면 어떻게 우수한 학생을 가려낼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수능이 일종의 자격시험화되는 것 아니냐는 불만에 더해 “이럴 거면 아예 영어시험을 없애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권오현 서울대 입학본부장은 30일 “수능시험이 지난해 수준보다 더 쉬워지거나 영어에 이어 언어·수리·탐구영역까지 절대평가가 되면 논술이나 구술 등 학교별 고사 도입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는 “수능 영어를 절대평가로 하면 1등급만 5만~10만명이 될 텐데 1등급만 시험을 보는 우리 학교의 입장에서는 변별력이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며 “이 경우 수능 영어는 학업 성취도 평가가 아니라 소양 평가라고 봐야 한다”고 밝혔다.

남궁곤 이화여대 입학처장은 이날 “정부는 영어 사교육 억제를 수능 영어 절대평가의 주된 이유로 들지만, 이것이 오히려 학생과 학부모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수능시험에 변별력이 있어야 학생 및 학부모가 합격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데, 오히려 합격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점점 줄어드니 혼란스러운 학부모들이 정보를 얻기 위해 또 다른 사교육 시장을 찾아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남궁 처장은 “이런 혼란을 고려하면 아예 수능시험을 없애고 100% 생활기록부로 선발하자는 얘기까지 나온다”고 했다.

백광진 중앙대 입학처장은 “10점 단위로 등급만 매기는 절대평가는 표준점수를 부여하는 상대평가만큼 실력 차를 정확히 보여줄 수 없기 때문에 공부를 열심히 한 학생이 노력의 결과를 얻지 못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말했다. 그는 “수능이 더 쉬워지면 극단적으로 수능으로 입학하는 정시는 없애고 수시로만 선발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했다.

임경수 서강대 입학처장은 “영어 절대평가는 1등급이 90~100점, 2등급이 80~89점이기 때문에 90점과 89점은 실제 실력은 엇비슷한데 억울하게 등급이 갈리게 되는 허점이 있다”며 “이럴 바에는 일정 점수를 기준으로 ‘통과’(PASS)와 ‘탈락’(FAIL)만 구별하는 자격시험으로 하자는 이야기도 나온다”고 전했다.

대부분의 대학은 수능 영어에 대해 대학별 환산점수의 등급 간 격차를 크게 둬 절대평가로 바뀐 뒤에도 시험의 변별력을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당초 교육부의 절대평가 전환 취지에 정면으로 반하는 방향이다. 100점 만점으로 환산할 때 연세대는 1·2등급 차이를 5점으로, 이화여대는 4점으로 잡았다. 한양대도 1등급 100점, 2등급 98점, 3등급 94점으로 연세대와 비슷하게 만들었다.

반면 서울대는 등급 간 격차를 0.5점만 두었고, 고려대는 아예 영어 점수 없이 다른 과목의 총점(인문계 560점·자연계 640점)에서 2등급은 1점을 감점키로 했다. 서강대는 등급 간 격차를 1점만 뒀다. 정부의 사교육 억제 기조에 동참하는 행보다. 그렇다고 쉬운 수능 기조에 무조건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김재욱 고려대 입학처장은 “(쉬운 수능 기조는) 정부에서 하는 일인 만큼 대학에서 어쩔 수 없는 부분이며 현실적으로 반발한다 해도 얻을 것은 없다”며 “2018년 수능으로 뽑는 정시 비중을 25%에서 15%로 줄이고 학교장 추천 전형으로 전체의 50%를 뽑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2016-03-31 1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