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중 기자의 교육 talk] (7) 폭군·외계인 같은 아이들

[김기중 기자의 교육 talk] (7) 폭군·외계인 같은 아이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6-01-05 00:02
수정 2016-01-05 01: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버릇없는 행동 못 참는 부모 ‘강압’과 ‘방임’ 고민

느지막이 일어난 일요일 아침. 사랑스러운 두 아이는 이미 일어나 거실에서 블록을 가지고 놀고 있습니다. 그런 모습을 바라보는 제 얼굴엔 미소가 번집니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 원하는 블록을 서로 가지려고 싸움이 시작됩니다. 서로 언성을 높이더니 결국 큰아이가 작은아이의 팔을 때립니다. 작은아이도 지지 않고 밀칩니다. 아빠가 얼른 달려가 말려 보지만 이미 일은 벌어졌습니다. 두 아이 모두 울고 불고 씩씩거리고 난리가 났습니다. 따끈한 빵에 직접 내린 커피로 맞으려던 평화로운 일요일 아침은 이렇게 부서집니다.

모든 부모에게 아이는 천사와도 같은 존재입니다. 자는 아이들을 바라보고 있으면 ‘이렇게 예쁜 아이들이 어떻게 우리에게 왔을까?’ 생각하곤 합니다. 하지만 아이들은 시시각각 돌변합니다. 소리를 고래고래 지르는 폭군이 되는가 하면 때론 엉뚱한 외계인처럼 자기주장만 합니다.

한배에서 나고 한집에서 키운 아이들인데 둘의 성격은 너무도 다릅니다. 예민한 성격의 여섯 살 큰아이는 한 번 화가 나면 극으로 치닫습니다. 네 살 둘째는 무던한 성격이지만 고집이 세서 오빠에게 절대로 지지 않습니다. 두 아이는 사이좋게 놀다가도 한 번 불붙으면 온 집안이 시끄럽게 싸우곤 합니다. 대부분의 싸움은 첫째가 크게 화를 내면서 절정으로 치닫습니다. “그래도 오빠니까 네가 참아야지”라면서 이해를 구하곤 하지만, 잘 먹혀들지 않을 때가 대부분입니다. 자기가 무조건 옳다고 주장하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소리를 크게 지르고 분을 삭이지 못해 발을 쿵쿵 굴러대곤 합니다. 둘째는 자기가 무조건 피해를 보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무조건 안아달라고 합니다. 안아주면 그제야 눈물을 그치곤 하는데, 가끔은 그 모습이 얄미울 정도입니다.

그래도 명색이 교육 담당 기자인데, 뭐라도 해봐야지 싶어 서점에 가서 책을 뒤져보고 아는 유아교육과 교수님에게 상담도 받았습니다. 책이든 전문가든 부모가 할 수 있는 방법은 둘 중 하나였습니다. 혼을 내거나 아니면 달래거나.

엄마에게 버릇없이 구는 첫째를 보고 감정이 폭발해 강압적인 방법을 써 본 적이 있습니다. 아이를 방에 데리고 가 꽉 붙들고 “네가 잘못했잖아. 어서 사과해”라고 소리를 질러댔습니다. 울면서 뛰쳐나가려는 아이를 힘으로 제압해 옴짝달싹 못하게 해놓고 얼굴을 마주 보고 큰소리를 쳤습니다. 아이는 더 큰 소리로 울었습니다. 그걸 보던 아내가 달려와 “이건 교육이 아니라 학대야”라고 했습니다. ‘학대’라는 말에 큰 충격을 받고 깊이 반성을 했습니다. 내 감정조차 조절하지 못했던 모습이 부끄러웠습니다.

오늘도 부모들은 ‘강압’과 ‘방임’ 사이에서 고민합니다. 버릇을 고쳐 놔야지 하면서 강하게 대하는 부모가 있는가 하면, 폭군 같은 아이에게 질려 아이들의 온갖 요구를 다 들어주는 부모도 있습니다. 수많은 책이 이 문제에 대해 여러 방법을 내놓지만, 중간 지점을 찾는 일은 절대 쉽지 않습니다. 부모의 역할은 이렇게도 힘들다는 사실을 다시금 깨닫고, 아이를 이해해 보려는 노력을 계속합니다. 이와 관련, 루소의 ‘에밀’에 나오는 구절이 오늘도 절절하게 와 닿습니다.

“아이는 동물이 아니지만 그렇다고 사람도 아니다. 그저 아이일 뿐이다. 아이를 지배하는 사람이 아이를 제자리에 붙잡아 두어야 하며, 이 임무는 쉽지 않다.”

gjkim@seoul.co.kr
2016-01-05 24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