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중 기자의 교육 talk] <1> 박물관에서 만난 직박구리

[김기중 기자의 교육 talk] <1> 박물관에서 만난 직박구리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5-10-26 18:14
수정 2015-10-26 18: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참새밖에 모르는 아빠 대신할 ‘국립’ 자연사박물관 있었으면

제 가족은 하루에 한 번씩 고양이들에게 밥을 줍니다. 지난여름 아파트 1층인 저희 집과 지하 주차장 틈 사이에 고양이가 새끼 세 마리를 낳은 게 인연이 됐습니다. 저러다 굶어 죽겠지 싶어 베란다 창문으로 보이는 마당에 플라스틱 그릇을 놓고 사료를 사다 주기 시작했습니다.

밥을 준 첫날. 창가에서 한 시간여를 기다리자 고양이가 어슬렁거리며 오더니 마치 자기 밥인 것처럼 먹기 시작했습니다. 여섯 살짜리 아들과 네 살짜리 딸은 고양이가 밥 먹는 모습을 보고 괴성을 질러대며 흥분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아파트에서 나고 자란 아이들은 동물을 키워본 적이 없습니다. 이런 아이들에게 고양이가 밥 먹는 모습은 동물원 사파리 구경과도 같은 풍경이었을 겁니다.

하지만 문제는 고양이가 밥을 언제 먹는지 알 수 없다는 것입니다. 고양이 밥 먹는 모습을 보려고 하루 종일 창문 옆에서 기다리고 있을 수도 없는 노릇이었습니다. 영화 ‘미션 임파서블’에서 봤던 것처럼 적외선 센서 같은 것을 플라스틱 그릇 주위에 달고, 고양이가 왔을 때 경보를 울려주도록 해볼까. 둔한 아빠 머리에서 나온 꾀는 고작 이 정도였습니다. 창밖을 보며 고민하던 그때, 갑자기 시끄러운 새 소리가 들려왔습니다. 참새보다 조금 큰 회색빛의 새였는데, 뺨에 노란색 털이 나 있는 녀석이었습니다. 이날 따라 유독 시끄러웠던 이유는 고양이 때문이었습니다. 근처에 새끼가 있어서인지, 고양이가 자기 영역에 들어와서인지, 새는 밥 먹는 고양이를 보며 마치 경고하듯 시끄럽게 지저귀었습니다. 귀가 아플 정도로 우는 새를 보던 아들이 물었습니다. “아빠, 저 새는 이름이 뭐야?” 새라면 참새하고 까치밖에 모르는 제가 이름이 뭔지 알 리 없죠. 그래서 저는 새의 이름을 우선 ‘고양이 감지새’, 폼 나게 ‘캣 센서 버드’라고 정해 놨습니다.

캣 센서 버드의 진짜 이름을 알게 된 것은 며칠 뒤였습니다. 아들이 어느 날 자랑스럽게 “아빠, 저 새는 직박구리야”라고 알려줬습니다. 어떻게 알았느냐고 묻자 “박물관에서 봤다”는 겁니다. 아내와 함께 서대문자연사박물관에 갔던 아들이 백여 마리 가까운 새들의 박제 속에서 직박구리를 찾아내 “바로 이 새야!”라고 했다고 합니다. 아이가 직박구리를 찾아낸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은 2003년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에 처음으로 문을 연 국내 유일의 공립 자연사박물관입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3만 4000여점의 자연사 관련 표본이 있는 곳으로, 지구의 역사와 공룡 자료 등 상설 전시를 비롯해 아이들이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는 시설이 두루 잘 갖춰졌습니다. 박물관 로비에 들어서서 마주한 대형 육식공룡 아크로칸토사우루스의 뼈 화석을 보고 놀랐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책으로 보는 것보다 직접 보고 체험하면 학습 효과가 더 큰 것은 당연한 일. 2년 전 이곳을 알게 되고서 제 가족은 두세 달에 한 번씩은 이곳을 찾습니다.

선진국은 1800년대에 이미 국립 자연사박물관을 건립했습니다. 영화 ‘박물관은 살아있다’의 배경인 미국 뉴욕의 자연사박물관은 세계 최대인 9만㎡ 규모를 자랑합니다. 프랑스 파리 국립자연사박물관의 소장 자료는 1억점 이상입니다. 스스로 ‘교육강국’이라 하는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국립 자연사박물관이 없는 유일한 나라입니다.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을 찾을 때마다 마음 한쪽에 안타까움이 드는 것은 어쩔 수가 없습니다.

gjkim@seoul.co.kr

2015-10-27 24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