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혁 갈등 큰 만큼 분량 축소 목소리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가 결정되면서 논란의 핵심인 근현대사 비중을 더 줄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2015 교육과정 개편에 따라 근현대사는 현재 50%에서 40% 정도로 줄어들 예정이지만 이보다 더 줄이고 ‘팩트’(사실) 중심의 역사 기술에 치중해 보혁 갈등을 줄이자는 것이다.14일 교육부에 따르면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2017학년도부터 적용되는 한국사 교과서에서는 근현대사의 분량이 40% 정도로 조정된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고대사와 근현대사 과목이 통합되면서 현재 교육과정에서는 근현대사 분량이 50%다.
교육부 관계자는 “2017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한국사가 필수과목이 되면서 학습량이 과도하다는 지적이 나왔고 이에 따라 근현대사 분량은 40% 정도로 준다”고 말했다. 전 세계적으로 근현대사의 비중이 느는 추세지만, 지금의 한국사 교과서 분량의 50%가 개항 이후 150년 남짓한 역사로 채워지는 것은 과도하다는 의견을 반영한 조치다.
이번에 제작될 국정교과서가 보수, 진보 편향 논란에 휩싸이면서 한 발 더 나아가 근현대사를 더 줄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한국사 교과서 제작을 맡은 김정배 국사편찬위원장은 지난 12일 기자회견에서 “중·고교 학생이 배우는 역사는 국민 된 도리에서 갖춰야 할 지식 선에서 끝나면 된다”며 “이념 문제가 지나치게 논란이 되는 주제는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자유롭게 배우고 논문으로 공부하면 된다”고 말했다. 국정교과서가 논란의 여지가 있는 만큼 ‘국민이 알아야 할 필요 최소한의 역사’를 수록하자는 것이다.
근현대사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가 높고 근현대사의 이해가 역사의식 함양에 중요하다며 근현대사 비중을 줄여서는 안 된다는 주장도 있다. 교학사 교과서 집필진인 권희영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근현대사가 논란이 많아서 줄이자는 것은 문제가 많은 부분을 그냥 덮고 가자는 뜻”이라며 “각계각층이 모여 제대로 된 사실이 무엇인지 집중적으로 토론하고 이를 털고 가야 한다”고 말했다. 후지이 다케시 역사연구소 연구원은 “제대로 된 역사교육은 학생들이 논란이 되는 역사를 스스로 올바르게 판단하는 힘을 길러 주는 것”이라며 “논란이 되는 한국사를 줄이면 역사교육이 단순 암기식 교육에 그칠 수 있다”고 말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근현대사 비중은 교육과정 개편으로 이미 정해졌기 때문에 이를 조정할 계획은 없다”며 “다만 민감한 주제에 대해 정치사 위주가 아닌 시대상 위주의 종합적인 기술 등은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5-10-15 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