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과 과제는
2015 교육과정 개정에서 크게 논란이 됐던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 병기’는 교육부가 결정 시한을 내년 말로 미뤘기 때문에 일단 수면 밑으로 가라앉게 됐다. 결정을 1년 미뤘지만, 교육부는 초등학생 한자 교육 추진 자체는 포기하지 않을 전망이다.김재춘 교육부 차관은 22일 “교과서 날개 단이나 바닥(주석), 단원 끝에 학생들이 단어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자를 설명하는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며 “초등학생이 알아야 할 기본적 한자, 예를 들면 300자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자를 교과서 각주나 날개 단에 표기하면 학습부담이 크지 않다는 판단이다. 하지만 한글단체는 이 방식에도 반대하고 있어 초등학교 한자교육을 둘러싼 논쟁은 내년에 다시 불거질 가능성이 크다.
별개 사안이지만 역사교과서 국정화 여부도 이번 교육과정 개정과 맞물려 사회적 이슈로 떠올랐다. 교육부는 “중·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발행 체제는 다음달 결정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교육부가 다음달 발표할 ‘교과용 도서 구분고시’에 한국사 교과서의 발행체제도 포함된다. 교육부는 “한국사 교과서 문제는 사회적으로 관심이 크기 때문에 구분고시에 앞서 행정예고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다음달 ‘역사전쟁’이 정점에 이를 전망이다.
교육 현장에서는 이번 교육과정 개정과 관련해 교원 양성 부분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 서울의 한 고교 교감은 “현재의 중1들이 고교에서 배우게 될 통합사회, 통합과학은 사회과와 과학과를 구성하는 다양한 하위 영역 학문이 서로 연계하고 통합돼 큰 그림을 그려야 하는 과목”이라면서 “학생들의 융합적 사고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이를 유도하고 가르칠 자질이 있는 교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현재 교사들 대부분은 수십년째 이어온 교과목 중심의 교원 양성 제도를 거쳤고, 교원대나 사범대 역시 과목 중심의 교사 양성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교육부는 교원 연수를 통해 역량을 키운다는 계획이지만, 연수만으로 교사들이 창의·융합 인재를 양성할 능력을 갖추게 될 것이란 기대는 무리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중·장기적으로 교원양성 교육과 임용 및 배치 등에 대한 집중적인 논의를 통해 (교원양성)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5-09-23 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