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아프리카 세네갈에 이어 15년 만에 인천 송도에서 열린 세계교육포럼이 21일 사흘간의 일정을 마치고 막을 내렸습니다. ‘교육을 통한 삶의 변화’를 위해 정부가 교육에 대한 우선적 책임을 져야 한다는 내용의 ‘인천 선언’도 채택됐습니다.
이번 포럼은 세계 150여개국 장관급 인사들이 향후 15년간 세계 교육의 방향을 정하는 자리였습니다. 교육 분야의 유엔총회라 할 정도로 많은 나라가 참여했고, 그만큼 행사가 주는 무게감도 컸습니다. 이렇게 큰 행사가 한국에서 열리고,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는 데 대해서는 박수를 보낼 만합니다.
특히 이번 포럼은 초고속 경제 발전의 원동력이 된 한국 교육의 면모를 세계에 유감없이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20일 주최국으로서 개최한 ‘한국교육 전체회의’ 세션에서도 각국 대표들의 찬사가 쏟아졌습니다. 백순근 한국교육개발원장은 한국 교육의 핵심으로 정부의 투자, 우수한 교원, 교육을 중시하는 사회풍토를 꼽았습니다. 이 세 가지 요소가 경제발전을 이끌고, 경제발전이 또다시 교육에 투입되는 선순환 구조를 이룬 나라는 그동안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면에 감춰진 문제들은 제대로 다뤄지지 않았다는 아쉬움은 어쩔 수 없었습니다. 대회 기간 동안 행사장 옆 호텔 앞 인도에서는 세계교육포럼과 정반대되는 성격의 행사가 열렸습니다. ‘한국 정부가 말하지 않는 진짜 한국교육’이라는 제목의 이 전시회에는 쉬는 시간에 절반이 넘는 학생이 책상에 엎드려 자는 모습, 붉은 볼펜으로 빽빽하게 필기한 노트, 학교 운동장에서 오리걸음으로 줄지어 체벌받는 학생들의 모습이 생생하게 표현됐습니다.
유치원부터 시작하는 입시경쟁, 경쟁에서 이기기 위한 과도한 사교육비 투입, 이에 따라 학업 성취도는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한국의 학생들의 행복도는 바닥입니다. 정부가 미래를 위해 대학에 과도한 돈을 퍼붓고 있지만, 세계 속의 우리 대학은 아직 초라합니다. 향후 15년 동안의 해법을 찾는 자리였다면 당연히 이런 문제들이 거론됐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해법에 대한 진지한 고민도 따라왔어야 했습니다.
지금까지의 성공에 대해 자축하기보다는 진지하게 문제들을 돌아보고, 지금까지 그랬던 것처럼 해답을 찾아야 할 때입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이번 포럼은 세계 150여개국 장관급 인사들이 향후 15년간 세계 교육의 방향을 정하는 자리였습니다. 교육 분야의 유엔총회라 할 정도로 많은 나라가 참여했고, 그만큼 행사가 주는 무게감도 컸습니다. 이렇게 큰 행사가 한국에서 열리고,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는 데 대해서는 박수를 보낼 만합니다.
특히 이번 포럼은 초고속 경제 발전의 원동력이 된 한국 교육의 면모를 세계에 유감없이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20일 주최국으로서 개최한 ‘한국교육 전체회의’ 세션에서도 각국 대표들의 찬사가 쏟아졌습니다. 백순근 한국교육개발원장은 한국 교육의 핵심으로 정부의 투자, 우수한 교원, 교육을 중시하는 사회풍토를 꼽았습니다. 이 세 가지 요소가 경제발전을 이끌고, 경제발전이 또다시 교육에 투입되는 선순환 구조를 이룬 나라는 그동안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면에 감춰진 문제들은 제대로 다뤄지지 않았다는 아쉬움은 어쩔 수 없었습니다. 대회 기간 동안 행사장 옆 호텔 앞 인도에서는 세계교육포럼과 정반대되는 성격의 행사가 열렸습니다. ‘한국 정부가 말하지 않는 진짜 한국교육’이라는 제목의 이 전시회에는 쉬는 시간에 절반이 넘는 학생이 책상에 엎드려 자는 모습, 붉은 볼펜으로 빽빽하게 필기한 노트, 학교 운동장에서 오리걸음으로 줄지어 체벌받는 학생들의 모습이 생생하게 표현됐습니다.
유치원부터 시작하는 입시경쟁, 경쟁에서 이기기 위한 과도한 사교육비 투입, 이에 따라 학업 성취도는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한국의 학생들의 행복도는 바닥입니다. 정부가 미래를 위해 대학에 과도한 돈을 퍼붓고 있지만, 세계 속의 우리 대학은 아직 초라합니다. 향후 15년 동안의 해법을 찾는 자리였다면 당연히 이런 문제들이 거론됐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해법에 대한 진지한 고민도 따라왔어야 했습니다.
지금까지의 성공에 대해 자축하기보다는 진지하게 문제들을 돌아보고, 지금까지 그랬던 것처럼 해답을 찾아야 할 때입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5-05-22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