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등지는 지방대

지방 등지는 지방대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5-04-06 00:22
수정 2015-04-06 01: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 충원율·취업률로 대학 서열화… 학생 찾아 수도권으로 ‘러시’

수도권으로 대학들이 몰리고 있다. 2010년 이후 캠퍼스 이전 또는 확장을 추진한 대학의 60%가 대상지로 수도권을 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현상은 학생 모집이 쉬운 수도권으로 대학을 이전하려는 지방 대학이 늘어난 탓으로, 대학의 수도권 집중화를 가속한다는 비판도 나온다.


5일 대학교육연구소에 따르면 2010년부터 지난달까지 6년간 대학 캠퍼스 일부를 이전하거나 이전 계획을 교육부로부터 승인받은 대학은 모두 20개교였다. 이 가운데 12개교는 수도권, 5개교는 세종시를 택했다. 수도권행(行)을 택한 12개교 중 8개교가 지방 대학이었다.

충남 홍성에 본교가 있는 청운대는 2013년 인천으로, 경동대와 예원예술대는 2014년 경기 양주로 일부 이전했다. 중부대는 최근 경기 고양시에 일부 학과를 개교했고, 을지대도 올해 교육부로부터 이전계획을 승인받아 2018년 개교를 목표로 의정부캠퍼스와 부속병원을 연내 착공할 계획이다.

지방 대학이 수도권으로 캠퍼스를 이전하는 이유는 지방의 학령인구가 급감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역 학생들이 급격히 줄어들자 학생 모집이 비교적 쉬운 수도권으로 대학들이 몰리는 것이다. 또한 지방 학생들도 졸업 무렵 취업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하고, 수도권에 있는 대학에 진학하는 것을 선호한다.

대학의 수도권 집중화 현상은 최근 교육부의 대학 구조개혁 평가가 부추긴다는 지적도 나온다. 평가 지표 중 ‘재학생 충원율’과 ‘졸업생 취업률’ 등은 지방 대학에 불리한 항목이다.

한 지방 대학의 입학처장은 “대학 구조개혁 평가 항목이 지방 대학에 아주 불리하며, 이는 지방 대학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라서 불안감이 심하다”고 말했다. 또 2006년 제정된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도 지방 대학의 수도권행을 가속화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경기도의 주한미군기지 반환 지역에 학교 이전과 증설이 가능하도록 특례를 적용하자 그동안 수도권 진출에 제한을 받았던 지방 대학들의 수도권 ‘러시’가 이어지고 있다.

대학들의 수도권 쏠림 현상에 따라 대학과 구성원, 지역 주민과의 갈등도 발생한다. 청운대가 2013년 인천으로 캠퍼스를 이전할 당시 인천시가 부지를 특혜 매각했다는 논란이 제기됐고, 홍성 주민들이 학교를 점거하는 등 반대집회 등을 하기도 했다. 경기 고양시에 제2캠퍼스를 조성한 중부대는 이번 학기부터 전체 학생들이 고양캠퍼스에서 생활할 수 있을 것처럼 홍보했으나 교육부가 이를 불허하면서 학생들의 반발을 샀다.

연구소 측은 “미군공여구역법 특례 규정을 폐지하고, 지방 대학에 대한 특례를 내실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5-04-06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