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육연구소, 대학 재적생 집계해 보니
대학 졸업을 미루는 졸업 유예생인 이른바 ‘대학 5학년생’이 최근 5년 동안 2만 7300여명 더 늘어났다. 졸업을 미루는 이유는 재학생이 졸업생보다 취업에 유리하고 대학에 남아 각종 스펙을 쌓거나 논문을 작성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16일 대학교육연구소가 지난해 고등교육기관에 학적을 두고 있는 재학생과 휴학생 등 전체 학부 재적생을 집계한 결과 모두 329만 3907명이었다. 2010년의 332만 853명보다 2만 6946명 줄었다.
이들 가운데 일반대학과 산업대학, 교육대학을 통칭하는 ‘4년제 대학’의 재적생은 220만 6694명으로 2010년보다 2만 2499명 증가했다. 같은 기간 4년제 대학 입학 정원은 3000여명이 줄었다. 입학 정원이 감소한 것을 고려하면 4년제 대학의 졸업 유예생은 5년 동안 2만 5500여명 늘어난 셈이다.
또 전문대의 재적생은 2010년 76만 7087명에서 2014년 74만 801명으로 5년 동안 2만 6286명 줄었다. 이는 전문대학의 입학 정원이 더 큰 폭으로 감소했기 때문이다. 같은 기간 전문대학의 입학 정원은 2만 8000여명 감소했다. 입학 정원 감소를 감안하면 실제 졸업 유예생은 5년 동안 1800여명이 더 늘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지난해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의 졸업 유예생은 2010년보다 2만 7300여명 더 늘어난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5년 동안 증가 폭만 집계한 것으로, 교육부는 정확한 졸업 유예생 수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120여개 4년제 대학이 졸업 유예제를 실시하고 있고 졸업 유예생이 10만여명에 이를 것으로 어림잡고 있다. 이들은 논문을 작성하지 않거나 영어성적을 충족하지 않는 등 졸업 요건을 일부러 충족하지 않는 방식으로 졸업을 미루고 있다.
일부 대학은 유예생들에게 졸업을 압박하고 있다. 교육부의 대학평가에서 유예생이 많은 대학은 불이익을 받을 것으로 예고됐다. 이에 따라 대학은 졸업 유예생들에게 등록금을 부과하려는 움직임도 보인다. 실례로 이화여대는 3월 신학기부터 규정 학점 이수 학생은 무조건 졸업해야 하는 과정수료제를 도입한다. 재적생 신분을 유지하려면 등록금의 6분의1인 60만원 정도를 납부하고 추가 등록해야 한다. 서강대와 건국대도 졸업 유예를 어렵게 하는 방향으로 학칙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황희란 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은 “경기 불황으로 취업을 못 해 졸업을 미룬 유예생들에게서 대학이 등록금을 받아내는 것은 사회적 비용을 높일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5-01-17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