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히로시마, 합천에서 원폭피해 74주기 추모제

한국의 히로시마, 합천에서 원폭피해 74주기 추모제

강원식 기자
입력 2019-08-06 17:01
수정 2019-08-06 17: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1945년 8월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된 원자폭탄으로 희생된 한국인피해자들의 넋을 기리는 ‘제74주기 한국인 원폭 피해영령을 위한 추모제’가 6일 경남 합천에서 거행됐다.
이미지 확대
제74주기 한국인 원폭 피해영령을 위한 추모제
제74주기 한국인 원폭 피해영령을 위한 추모제
올해 추도식에는 처음으로 국무총리 명의 조화가 설치되고 현직 장관도 참석하는 등 정부가 피해자들을 적극 돕겠다는 뜻을 표시했다.

이날 오전 11시 합천군 합천원폭피해자복지회관 위령각에서 열린 원폭 희생자 추모식은 원폭 피해자들로 구성된 사단법인 한국원폭피해자협회에서 주최·주관했다.

협회측은 국내 단체 주도로 추도식이 시작된 2011년 이후 국무총리 명의 조화가 설치되거나 장관이 추도식에 참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추도식에는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을 비롯해 박성호 경남도 행정부지사, 문준희 합천군수, 원폭 피해자와 그 가족, 일본 시민단체 회원 등 500여명이 참석했다.

추도식에 참석한 박 장관은 추도사를 통해 “일제강점기 타국에서 억울하게 희생된 한국인 영령들의 명복을 빈다”며 “일본의 침략과 지배로 인한 역사, 이런 아픈 역사의 희생자를 가슴에 새기고 원폭 피해자들의 상처와 고통을 치유하며 평화의 초석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앞으로 (피해자들에 대한) 실태조사와 함께 의료 지원과 추모 사업 등 보다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박성호 도 행정부지사는 “원폭 피해자 지원 특별법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합천군과 경남도, 보건복지부가 힘을 모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일본 시민단체인 ‘한국원폭피해자를 돕는 시민모임’ 회장 이치바 준코 씨는 “일본 정부는 한국인 원폭 피해자 배상 문제에 한일협정으로 해결했다고 54년간 주장해왔지만 한국인 희생자와 유족께 사죄한 적이 단 한 번도 없다”며 “일본 아베 총리는 오늘 아침에도 히로시마 땅 위에 서며 한국인 피해자에 대해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본 정부는 한국인 원폭 피해자들을 역사에서 지워버리려고 하는 것 같다”며 “(우리 단체는) 앞으로도 한국인 원폭 피해자 배상 문제를 완전히 해결했다는 일본 정부의 헛소리를 고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추도식은 추도사, 추모 묵념, 피해자 및 유족 대표 인사, 헌화, 기념촬영 등의 순서로 50여분간 이어졌다.

박 장관 박 부지사 등은 추도식 참석에 앞서 복지회관을 찾아 원폭 1세 피해자들에게 인사를 하고 원폭 피해자 단체와 면담을 했다.
이미지 확대
제74주기 한국인 원폭 피해영령을 위한 추모제
제74주기 한국인 원폭 피해영령을 위한 추모제
피해자 단체는 “비핵평화공원 조성과 원폭 2·3세 피해자 지원을 위한 원폭피해자특별법 개정 등을 위해 노력해 달라”고 건의했다.

박 장관은 “내년도 예산안에 비핵평화공원 조성 타당성 조사를 위한 예산 1억원이 반영돼 있다”며 “늦은 감이 있지만 피해자들을 추념하기 위한 공원 사업을 적극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제74주기 한국인 원폭 피해영령을 위한 추모제
제74주기 한국인 원폭 피해영령을 위한 추모제
박 장관은 “정부가 좀 더 공식적으로 피해자들을 도와야겠다는 의지를 표명하기 위해 추도식에 직접 참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이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에 이어 8월 9일 나가사키에 원폭을 차례로 투하해 당시 해당 지역에 있던 한국인 7만명이 피폭돼 그 가운데 4만명은 사망한 것으로 추산된다.

3만명은 살아남았지만 피폭 후유증이 대물림 돼 2~3세까지 후유증에 시달리는 등 고통을 겪고 있다.

원폭 피해자 가운데 70%가 합천 출신으로 합천은 ‘한국의 히로시마’로도 불린다.

협회와 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에 생존해 있는 원폭 피해자 1세는 2261명으로 이 가운데 360여명이 합천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합천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